사회
사회일반
임실군 '운수지 을묘본 국역' 간행
전북자치도 최고(最古) 읍지… 학술적 가치 높아!
김가영 기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사입력: 2024/11/01 [12:05]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조선시대 임실현(任實縣) 사찬읍지(私撰邑誌) 가운데 가장 오래된 '운수지(雲水志 = 1675) 을묘본'이 변역ㆍ간행됐다. / 사진제공 = 임실군청   © 김가영 기자



 

 

조선시대 임실현(任實縣) 사찬읍지(私撰邑誌) 가운데 가장 오래된 '운수지(雲水志 = 1675) 을묘본'이 번역간행됐다.

 

'국역 운수지 을묘본'은 오수에 살고 있는 김진영씨(64)가 소장하고 있는 운수지를 저본으로 학술교육원에서 출판됐으며 번역과 함께 원문 이미지가 함께 실렸다.

 

저본이 된 운수지 을묘본(1675)은 국가기록원에서 시행한 2024년 맞춤형 복원복제 처리 지원 서비스 사업을 통해 보수됐다.

 

'운수지(雲水志) 을묘본'은 도내 14개 시군 가운데 가장 오래된 사찬읍지로 16~17세기 편찬된 전라도 읍지는 승평지(1618 = 순천) 탐라지(1655 = 제주) 용성지(1699 = 남원) 3종이었다.

 

'운수지'는 전라도 사찬읍지 특징에 대한 비교연구 등 학술적 가치가 높다.

 

조선시대 임실현의 사찬읍지로 1675년과 1730년에 편찬됐고 1904년에 간행된 적이 있었으며 그 시초가 된 것이 이번에 발간된 운수지 을묘본이다.

 

학계 보고에 따르면, 을묘본은 전라남도와 전북특별자치도의 조선시대 사찬읍지 가운데 두 번째로 오래된 사찬읍지다.

 

1675년 임실 현감 신계징이, 고을 사람 한필상이시연과 편찬한 것으로 32개 항목 9648,000자에 이르는 방대한 자료가 담겼다.

 

임실현의 별칭인 운수(雲水)의 연원과 변천17세기 면리제(面里制) 시행역대 임실현감 포폄각종 인물편에 포함된 풍속 교화 노력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열악했던 임실현 사정지역 관련 인물 에피소드산천에 딸린 수많은 이야기 등 다양한 콘텐츠가 포함돼 17세기 임실현의 모습을 오롯이 살펴볼 수 있는 자료다.

 

특히 운수(雲水)의 연원이 되는 운수정(雲水井)을 용요산 운수봉 아래 절골약수터에서 발견하게 됨에 따라 자료의 정확성이 남다르다.

 

전해져 내려오는 구전(口傳)에 의하면 "신관 사또가 부임할 때 처음으로 이 물을 마시게 하면 비록 혹리(酷吏)라고 가히 양재(良宰)가 된다"고 하는 특별한 우물이다.

 

심 민 임실군수는 "'국역 운수지'는 발간과 함께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학술교육원사이트와 임실군청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라며 "350년 만에 학예사와 지역 주민이 함께 국역서를 간행한 것은 임실의 역사와 문화가 한층 더 깊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임실(任實)'은 순우리말로 전해지는 지명으로 백제 때 잉힐군(仍肹郡)경덕왕 16(757) 임실군고려 때 남원부 진관에 속했으나 고려 명종(明宗) 2년에 감무(監務)를 두었고 조선 태종(太宗) 13년에 '임실현'으로 삼았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msil-gun 'Transportation Journal Eulmyobon National Translation' published

The oldest town in Jeonbuk Self-Governing ProvinceHigh academic value!

 

Reporter Kim Ga-young

 

'Unsuji(雲水志 = 1675) Eulmyo version', the oldest of the Sachan-eup papers of Imsil-hyeon(任實縣) during the Joseon Dynasty, has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The 'Eulmyo version of the nationally translated transportation magazine' was published by the Academic Education Center based on a transportation magazine owned by Kim Jin-young(64), who lives in Osu, and included an image of the original text along with the translation.

 

The Eulmyo version of the Transport Journal(1675), which served as the original manuscript, was repaired through the 2024 customized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support service project implemented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Unsuji(雲水志) Eulmyobon' is the oldest Sachan-eupji among the 14 cities and counties in the province. It is a Jeolla-do town written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Seungpyeongji(1618 = Suncheon) Tamnaji(1655 = Jeju) Yong There were three types, including Seongji(1699 = Namwon).

 

'Unsuji' has high academic value, including comparative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achan-eup area in Jeolla-do.

 

It was compiled in 1675 and 1730 as the Sachan-eupji of Im Sil-hy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was published in 1904, and its beginning was the recently published Eulmyo version of the fortune-telling journal.

 

According to academic reports, Eulmyobon is the second oldest Sachan-eup site among the Joseon Dynasty Sachan-eup sites in Jeollanam-do and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t was compiled in 1675 by Shin Gye-jing, the head of Imsil, and local residents Han Pilsang and Lee Si-yeon. It contains a vast amount of data, including 32 items, 96 pages, and 48,000 characters.

 

Origin and evolution of Im Sil-hyeon's nickname, Unsu(雲水), implementation of the Myeonri system in the 17th century, a profile of past Im Sil-hyeon governors, efforts to educate customs and customs included in various character sections, Im Sil-hyeon's poor situati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Manchu War, etc. It contains a variety of contents, such as episodes of local characters and numerous stories related to mountains and streams, and is a material that allows you to fully examine the appearance of Im Sil-hyeon in the 17th century.

 

In particular, the accuracy of the data is exceptional as Unsujeong(雲水井), which is the source of cloud water(雲水), was discovered at the Jeolgol Mineral Spring under Unsubong Peak of Yongyosan Mountain.

 

According to an oral tradition that has been passed down, it is a special well that is said to be, "If a priest Sato drinks this water for the first time when he takes office, he will become a nobleman even though he is an ornery."

 

Imsil County Mayor Shim Min said, "Upon publication, the 'National Transportation Journal' will be made public through the Academic Education Center website and the Imsil County Office website for anyone to view," adding, "This is the first time in 350 years that a curator and local residents have published a national translation together."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further deepen the history and culture of Imsil," he said.

 

Meanwhile, 'Imsil(任實)' is a place name passed down in pure Korean. It belonged to Ingil-gun(仍肹郡) during the Baekje period, Imsil-gun(the 16th year of King Gyeongdeok's reign(757)), and Namwon-bu Jingwan during the Goryeo period, but was renamed to Inghil-gun(仍肹郡) in the 16th year of King Gyeongdeok's reign(757) during the Baekje period. He appointed Gammu(監務) and made him ‘Im Sil-hyeon’ in the 13th year of the reign of King Taejong of the Joseon Dynasty.

ⓒ 브레이크뉴스 전북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도배방지 이미지


'희망 2025 나눔캠페인' 출범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