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칼럼】현대의 농업과 조선의 農者
안병일 = 한국스카우트 서울남부연맹 사무처장
김현종 기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사입력: 2017/11/03 [09:07]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안병일 = 글로벌사이버대 겸임교수 및 본지 전북취재본부 논설위원.     © 김현종 기자

1111일은 "농업인의 날"이다.

 

농업인의 날은 해방이후에 시행되었던 권농의 날을 농어업의 날로 개칭했다가 1996년 농업인의 날로 개칭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다.

 

'농업인의 날'1996년에 농업이 국민경제의 기반임을 국민들에게 인식시킴은 물론 농업과 농촌사회의 발전에 애써온 농업인들에게 긍지와 자부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공식적인 기념일로 제정됐다.

 

우리 선조들은 고대사회부터 농업이 사회의 기반을 이루는 공동체적인 농경사회를 바탕으로 한 국가를 형성하여 농업생산에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가족을 비롯한 구성원들의 협력을 바탕으로 전형적인 사회적인 관계를 유지해 왔다.

 

우리나라 사회구성의 형태는 인간생활의 기본적인 단위가 되는 가족을 비롯한 여러 구성원들이 모여 마을을 기본 사회단위로 하는 공동체적인 관계를 형성해 왔는데 향약두레품앗이 등에서 촌락의 형태를 찾아 볼 수 있다.

 

농업이란 용어가 문헌에 처음 표기된 것은 태조실록에서 볼 수 있는데 13929월에 조준이 이성계에게 아뢰기를 "농업은 의식(衣食)의 근본이니 농업을 권장하여 백성을 잘 살게 해야 한다"라 말하고 있다.

 

농자(農者-농사를 짓는 사람)라는 용어가 조선왕조실록에 자주 등장하고 있는데 숙종실록(1711)에는 "농사는 천하의 큰 근본이라 왕이 된 자의 정사로서 권농(농사를 장려함)보다 우선하는 것은 없다"라 표현하고 있다.

 

또한, 순조실록(1812)에는 "새해에 농사를 권장하는 것은 왕정에서 먼저 힘쓸 일이자 민사(민간에 관한 일)에 있어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중략) ! 임금은 백성이 아니면 더불어 나라를 지킬 수 없고(중략)농사는 천하의 큰 근본이다"라 하여 백성과 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렇듯 우리 선조들은 농업에 대해 농자는 천하의 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라 할 만큼, 국기(國基-국가를 이루는 기초나 근본)의 근본으로 삼아 실질적으로 국가재정기반을 확고히 하여 국민경제를 유지하는 소득의 기반으로 농업생산력에 의존해 왔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새마을운동을 기점으로 우리 농촌 사회를 오랫동안 지배해 온 빈곤의 악순환을 종식시키고 근대화를 위한 탈바꿈이 시도돼 농업생산력의 선진화와 집약화는 물론 전문화 등을 가져옴으로써 농촌사회의 삶에 대한 질적 향상도 눈부시게 성장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도시와 농촌 간의 소득격차, 생산가능 인구의 감소와 고령인구의 증가 등으로 인한 농촌사회는 인구 공동화 현상이 초래됨으로 인해 농촌에는 고령의 어른들만 남아 있고 농사에 전념하려는 젊은 청년들이 없다.

 

이러한 농촌사회의 인구 공동화 현상은 농촌사회의 기능을 저하시켜 농업활동의 구조적인 환경에 대한 부작용을 야기하고 더 나아가 농촌사회의 문화상실 등을 초래하여 농촌사회의 불안요소로 작용될 수가 있다.

 

오래전부터 우리 선조들은 사농공상(士農工商)이라 할 정도로 농업을 높이 여겨온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세계적인 국제화정보화시대가 도래되면 값싼 가격의 외국 농산물이 홍수처럼 밀려들어옴으로써 우리 농촌사회를 흔들어 놓고 있다.

 

우리 농업인들은 세계화로 인한 글로벌 경쟁시대에 대비하여 선진화되고 전문화된 농업기술과 특화된 양질의 농산물을 생산하여 외국산 농산물과 대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농촌사회의 환경은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우리 것이 좋다는 신토불이(身土不二)의 의미도 중요하지만 농자는 천하의 대본이란 말처럼 농업이 국가경제의 기반이라는 점을 살펴서 농업인들에 대한 정부의 참다운 정책제시와 더불어 책임 있는 정부의 위기관리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농업인들이 피땀 흘려 생산한 양질의 농산물에 대해 우리들이 올바른 인식을 제고함으로써 서로 공감대를 형성한다면 농촌사회가 안고 있는 농업에 대한 위기 등 여러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더불어 미래에 우리사회를 짊어지고 나갈 청소년들은 물론 젊은 청년들이 장차 농촌사회에서 농업인으로서 참된 직업관을 가지고 농업에 전념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돼야 하는 시점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 브레이크뉴스 전북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도배방지 이미지


전주월드컵경기장 '초록빛 물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