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임실 '호암 봉화, 배수시설' 발견
길이 220cmㆍ너비 17cm… 등봉(登烽) 시설도 확인
김현종 기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사입력: 2021/04/16 [11:05]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전북 임실군에서 삼국시대 주요 군사시설의 상징적인 봉수(烽燧)의 구조 연구 및 전북지역 가야세력의 정체성을 밝힐 수 있는 '봉화(烽火) 배수시설'이 발견돼 학계에 비상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임실군과 전주문화유산연구원이 지난 15일 관촌면 도봉리 범바위산 해발 366m 현장에서 '임실 호암 봉화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 사진제공 = 임실군청                                                                                                                                             © 김현종 기자

 

▲  '호암 봉화' 배수로는 봉화시설의 서쪽과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남-북 방향으로 이어졌고 길이는 220cmㆍ너비는 17cm 내외로 잔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상태로 확인됐다.                                                                      © 김현종 기자

 

 

 

 

 

 

전북 임실군에서 삼국시대 주요 군사시설의 상징적인 봉수(烽燧)의 구조 연구 및 전북지역 가야세력의 정체성을 밝힐 수 있는 봉화(烽火) 배수시설이 발견돼 학계에 비상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임실군과 전주문화유산연구원은 지난 15일 관촌면 도봉리 범바위산 해발 366m 현장에서 '임실 호암 봉화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자문회의는 군산대 곽장근 교수호남문화재연구원 한수영 실장전주문화유산연구원 발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특히, 전북 가야문화사 발굴과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이뤄진 시굴조사에서 호암 봉화의 추정 봉화시설은 자연 암반 위에 원형으로 석재를 두른 형태로 암반을 20~30cm 가량 깎아 만든 배수로가 발견됐다.

 

배수로는 봉화시설의 서쪽과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남-북 방향으로 이어졌고 길이는 220cm너비는 17cm 내외로 잔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상태로 확인됐다.

 

이 밖에도, 자연암반을 계단 형태로 다듬어 만든 등봉(登烽) 시설도 확인됐다.

 

'호암 봉화'는 기존에 알려진 경각산 봉화에서 출발하는 임실 봉화로와 별개로 성미산성과 고덕산 봉화를 이어주는 관촌 봉화로에 해당하며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범 바위산에 오르면 서쪽으로 임실 신평면 일원의 섬진강 유역이 한눈에 들어오고 동쪽의 고덕산과 북쪽의 성미산도 조망된다.

 

임실군 강영구 문화체육과장은 "이번 발굴 조사는 섬진강 유역의 봉화산 봉화에서 토축 봉화의 흔적을 찾은데 이어 호암 봉수에서 또 다른 형식의 봉화를 발견해 매우 의미가 있다""유적의 학술적역사적 가치를 규명하는 동시에 보존과 활용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변방의 급한 소식을 중앙에 전하고자 할 때 높은 산에 올라가 불을 피워서 그 불빛과 연기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봉수(烽燧).

 

밤에는 불을 피워 올리고 낮에는 연기로 신호를 보내던 夜火晝煙(야화주연)의 방법이 사용됐다.

 

30여리의 거리마다 서로 잘 보이는 산봉우리에 봉수대를 쌓고 횃불과 연기를 올려 국방상의 중요한 通信 役割(통신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시설이며 제도였다.

 

봉수(烽燧)는 횃불()과 연기()를 뜻하는 것으로 봉수는 烽火(봉화-봉화봉, 불화)라고도 하며 봉화의 유래와 운영 체제(烽燧由來運營 體制)를 문헌을 통해 살펴보면 삼국시대부터 봉수를 올린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an English article translated from the above article with Google Translate.

 

Discovered Imsil 'Hoam Bonghwa Drainage Facility'

Length 220cmWidth 17cmAlso check the facilities of the Deungbong(登烽)

 

Reporter Kim Hyun-jong

 

In Imsil-gun, Jeollabuk-do, a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symbolic Bongsu of major military facilitie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discovery of a Bonghwa drainage facility that can reveal the identity of the Gaya forces in the Jeollabuk-do region are attracting extraordinary interest in the academic world.

 

Imsil-gun and Jeonju Cultural Heritage Research Center held the'Imsil Hoam Bonghwa Academic Advisory Conference' on the 15th at the site of Beombawi Mountain, 366m above sea level, in Dobong-ri, Gwanchon-myeon.

 

The academic advisory meeting was held in the presence of Prof. Jang-Geun Kwak of Gunsan University, Su-young Han, Director of the Honam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and an official from the Jeonju Cultural Heritage Research Center.

 

In particular, in a prospecting survey conducted as part of the discovery and maintenance of Gaya Cultural History in Jeonbuk, the estimated beacon facility in Hoam Bonghwa was found to be a drainage channel made by shaving about 20 to 30 cm of rock mass in a circular shape over natural bedrock.

 

The drainage channel formed a gentle slope with the west side of the beacon facility, leading to the north-south direction, and the length was 220 cm and the width was about 17 cm, and the remaining condition was confirmed to be in very good condition.

 

In addition, a deungbong facility made from natural rock formations in the form of stairs was also confirmed.

 

'Hoam Bonghwa' is a Gwanchon Bonghwa-ro that connects Seongmisanseong and Godeoksan Bonghwa, apart from the previously known Bonghwa of Imsil Bonghwa, and is located in a geographically important place.

 

When you go up to Beomrock Mountain, you can see the Seomjin River basin in the area of ​​Imsil Sinpyeong-myeon to the west, and you can see Godeok Mountain in the east and Seongmi Mountain in the north.

 

"This excavation survey is very meaningful by finding another type of beacon at Bonghwa Mountain Bonghwa in the Seomjin River basin, and finding another type of Bonghwa at Bonghwa, Hoam." At the same time, we plan to find ways to preserve and utilize it.”

 

On the other hand, when trying to deliver urgent news from the outskirts to the center, it is Bongsu to go up to a high mountain and make a fire and transmit the signal with the light and smoke.

 

The method of 夜火晝煙 (Yahwa Jooyeon) was used, which used to light a fire at night and send a signal with smoke during the day.

 

It was a facility and institution to perform an important communication role in national defense by building a bongsudae on the peaks that can be seen from each other at every 30-ri distance, and raising torches and smoke.

 

Bongsu(烽燧) means torch() and smoke(). It is presumed to have been raise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 브레이크뉴스 전북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도배방지 이미지


전주월드컵경기장 '초록빛 물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