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제시 "定名 역사정립 학술세미나"
1260년… 긍지와 자부심 · 새만금 시대 희망찬 비래비전 제시
심현지 기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사입력: 2017/07/14 [12:18]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이건식 전북 김제시장이 14일 시청 지하대강당에서 개최된 '金堤 역사정립 학술세미나'에 앞서 "백성과 나라를 구하기 위해 일신의 안락을 버리고 분연히 떨쳐 일어났던 애국애민(愛國愛民) 사상이야말로 김제를 지탱해온 뿌리였다"며 "많은 시민들이 김제의 위대함을 깨닫고 '김제인'이라는 자부심과 긍지를 가졌으면 한다"는 당부의 말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 = 김제시청     © 심현지 기자


 

 

전북 김제시가 '정명(定名) 1260주년 기념' 사업 일환으로 14일 시청 지하대강당에서 "金堤 역사정립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세미나는 역사 속에 나타난 김제의 인물과 사상문화예술의 우수성을 설명하고 김제 정신을 재조명하는 시간을 통해 '金堤'라는 지명이 사용된 지 1260주년을 기념해 시민들의 긍지와 자부심을 드높이는 동시에 새만금 시대를 맞아 희망찬 미래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건식 김제시장은 인사말을 통해 "김제는 1260년의 세월동안 수많은 효제충신(孝悌忠信)의 인물을 배출하고 시(詩書禮樂)의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예술의 꽃을 활짝 피워온 곳으로 동학운동과 3.1 만세운동 등 실천적 저항정신으로 현실의 변화를 주도해 왔다"고 밝혔다.

 

특히, 이 시장은 "백성과 나라를 구하기 위해 일신의 안락을 버리고 분연히 떨쳐 일어났던 애국애민(愛國愛民) 사상이야말로 김제를 지탱해온 뿌리였다"며 "많은 시민들이 김제의 위대함을 깨닫고 '김제인'이라는 자부심과 긍지를 가졌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역사적으로 본 김제의 정신과 문화'라는 주제로 기조발표에 나선 전북역사문화학회 나종우 교수는 "역사 속에 자리 잡은 김제의 정신을 창의정신열린 정신저항정신미래지향정신4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며 "과거 고난과 수탈을 극복하며 오늘에 이르기까지 김제의 정체성을 지켜온 숨겨진 힘"을 집중적으로 조명해 참석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군산대학교 김종수 교수는 '종교와 인물로 본 김제 정신'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진표진묵탄허정여립이기강증산 등의 종교사상가들이 김제 땅에서 펼치고자 했던 이상과 애민정신"을 설명했다.

 

, 김진돈 전북문화재위원은 '예술문화에 나타난 김제 정체성'이라는 주제로 "통일신라 말기의 최치원에서 조선 중기 송재 송일중을 거쳐 석정 이정직과 강암 송성용에 이르기까지 한국 서화계를 주름잡았던 역사와 그 속에 스며있는 김제의 정신문화"를 조명해 눈길을 끌었다.

 

이밖에 우석대 박수진 연구교수는 "미래 백년대계 김제발전 전략의 밑그림은 바로 새만금시대를 맞아 김제만의 정체성과 개성을 강화한 지역 마케팅 전략"이라고 제시한 뒤 "시농대제 개최와 아시아농업사박물관 설립"을 제안하기도 했다.

 

한편, '金堤'라는 지명은 통일신라 경덕왕 16서기 757년에 벽골에서 김제로 이름이 바뀌며 탄생한 것으로 세종실록과 삼국사기 등에 전해지고 있으며 2017년은 김제 지명이 탄생한지 1260년이 되는 해다.

 

ⓒ 브레이크뉴스 전북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도배방지 이미지

김제시 역사정립 학술세미나 관련기사목록

걷고 싶고 머물고 싶은 '용안생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