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주시 '황방산 유해 발굴 최종보고회'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118개체ㆍ유류품 238건 확인
김가영 기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사입력: 2024/04/12 [17:10]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전북자치도 전주시가 역사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 한국전쟁 당시 학살당한 민간인들의 유해 118개체를 발굴해 영면(永眠)할 수 있도록 오는 30일 세종시 추모의 집에 안치한다. (유해 발굴 조사팀과 자문위원ㆍ유족회원 등이 12일 시청 4층 회의실에서 최종보고회를 개최한 뒤 3차 유해 발굴지인 황방산에서 발견된 유품 등을 살펴보고 있다) / 사진제공 = 전주시청   © 김가영 기자



 

 

전북자치도 전주시가 역사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 한국전쟁 당시 학살당한 민간인들의 유해를 발굴해 영면(永眠)할 수 있도록 오는 30일 세종시 추모의 집에 안치한다.

 

12일 전주시와 전주대학교 박물관은 시청 4층 회의실에서 조사팀과 자문위원ㆍ유족회원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지역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3차 유해 발굴'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최종보고회는 효자동 황방산 유해 발굴 결과에 대한 설명과 향후 유해 안치 계획 등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유해 발굴 조사를 맡은 전주대학교 박물관 박현수 학예실장은 "한국전쟁 당시 억울하게 희생된 전주지역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3차 유해 발굴조사 결과, 유해 118개체와 유류품 238건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긴 구덩이를 굴착하고 학살 후 매납하는 행위는 일정한 계획에 의해 학살이 자행됐음을 보여준다""일부 구덩이를 통해 학살 전후 상황 등을 추론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굴을 통해 확인된 유해는 지난 1~2차 발굴에서 확인된 78여 개체보다 약 40여 개체 늘어났고 유해 감식 결과 대부분 남성으로 확인됐다.

 

연령은 25~35세의 청년층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중년 이상의 2구의 여성 유해도 확인됐다.

 

, 비닐에 싸여진 2차 매장 수혈에서 확인된 유해 두개골에서 총알이나 파편이 관통해 생긴 '총창(銃創)'의 흔적이 확인돼 총살에 의한 학살이 이뤄졌음을 짐작케 했다.

 

또한 수습된 총기류 가운데 M1소총 탄피와 칼빈소총 탄피 등 당시 군인 또는 경찰의 무기체계와 일치해 학살의 주체가 군ㆍ경임을 명확히 하고 있다.

 

출토된 유류품은 대부분 안경과 단추ㆍ신발 등으로 그 당시 학살된 희생자가 착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억울하게 희생된 고인들의 유해 발굴 사업은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역사에 대한 치유의 과정이자 진실을 밝히는 것으로 미래를 위한 가장 선도적인 정책이고 후대에 대한 마땅한 의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희생자들의 아픔을 위로하며 과거사 정리 및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 회복과 유해 안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주지역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은 19506~7월 인민군이 전주에 진입하기 직전, 전주형무소에 수감돼 있던 수형자 1,400여명이 효자동 황방산ㆍ산정동 소리개재 등에서 집단으로 학살돼 매장된 사건이다.

 

전국적으로 벌어진 민간인 학살은 무려 10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eonju City holds 'Hwangbangsan Mountain Remains Excavation Final Report'

Civilian victims of the Korean War118 objects and 238 items confirmed

 

Reporter Kim Ga-young

 

In order to heal the pain of history, Jeonju City, Jeonbuk Self-Governing Province, will excavate the remains of civilians massacred during the Korean War and place them in the Sejong City Memorial House on the 30th so that they can rest in peace.

 

On the 12th, Jeonju City and Jeonju University Museum held a final report on the '3rd excavation of remains of civilian victims of the Korean War in the Jeonju area' in the conference room on the 4th floor of City Hall with about 20 people including the investigation team, advisory committee members, and bereaved family members in attendance.

 

This final report was held in the form of an explanation of the results of the excavation of remains at Hwangbangsan Mountain in Hyoja-dong and discussion of future plans for enshrining the remains.

 

Park Hyeon-soo, head of the Jeonju University Museum's curatorial department, who was in charge of excavating the remains, explained, "As a result of the third excavation of the remains of civilian victims in the Jeonju area who were unjustly sacrificed during the Korean War, 118 remains and 238 items of belongings were identified."

 

In particular, he said, "The act of excavating long pits and burying them after the massacre shows that the massacre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a certain plan," and "It will be possible to infer the circumstances before and after the massacre through some of the pits."

 

The remains identified through this excavation increased by about 40 from the 78 identified in the first and second excavations, and as a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remains, most of them were confirmed to be male.

 

The majority were young people aged 25 to 35, and the remains of two middle-aged or older women were also identified.

 

In addition, traces of 'gun lances' created by bullets or fragments penetrating the skull of the remains found in the second burial blood transfusion wrapped in plastic were confirmed, suggesting that the massacre was carried out by firing squad.

 

In addition, among the recovered firearms, M1 rifle shells and Calvin rifle shells matched the weapon systems of the soldiers or police at the time, making it clear that the military and police were the subjects of the massacre.

 

It was analyzed that the excavated artifacts were mostly glasses, buttons, and shoes worn by the massacred victims at the time.

 

Jeonju Mayor Woo Beom-ki said, "The excavation project of the remains of the unjustly sacrificed is not just a formality, but a process of healing about history and revealing the truth. It is the most pioneering policy for the future and a duty we owe to future generations."

 

He added, "We will console the pain of civilian victims during the Korean War and do our best to sort out past history, restore the honor of the victims and their families, and enshrine their remains."

 

Meanwhile, the sacrifice of civilians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Jeonju area occurred in June and July 1950, just before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entered Jeonju, when about 1,400 prisoners imprisoned in Jeonju Prison were massacred and buried in places such as Hwangbangsan Mountain in Hyoja-dong and Sorigaejae in Sanjeong-dong.

 

The civilian massacre that occurred nationwide is estimated at as many as 1 million.

ⓒ 브레이크뉴스 전북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도배방지 이미지


'붕어섬 생태공원' 발길 닿은 곳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