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국~통일신라시대 접경지역으로 영토(세력)확장을 위한 요충지였음을 반증하고 있는 전북 무주 '당산리 봉화유적'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해 문화재 지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또다시 제기됨에 따라 도(道) 문화재 지정 신청 등 관리에 돌입했다. / 사진제공 = 무주군청 © 이준환 기자 |
|
삼국~통일신라시대 접경지역으로 영토(세력)확장을 위한 요충지였음을 반증하고 있는 전북 무주 '당산리 봉화유적'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해 문화재 지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무주군은 "'당산리 봉화유적'이 학술적 가치와 문화재적 보존 가치가 높다는 평가에 따라 도(道) 문화재 지정 신청 등 관리에 돌입했다"고 20일 밝혔다.
무주국유림관리소 산불종합훈련장이 있는 해발 429.6m의 야산 정상부를 둘러싼 석축과 봉화로 추정되는 석축시설이 확인됐다.
지난해 10월 전북지역 가야문화유산 발굴 및 정비사업 일환으로 실시한 정밀지표조사 결과, 산의 능선을 따라 분포하고 있는 3기의 봉화대(봉화추정지)와 봉화대 주변에 부분적으로 조성된 성벽(석축방호벽)을 확인했다.
조사결과 봉화대로 추정되는 동-서 약 6.9mㆍ남-북 약 7m의 정방형에 가까운 석축시설의 구조와 형태가 확인됐고 석축시설 아래에 석축을 보강하기 위해 계단식으로 쌓은 보축부가 일부 남아 있다.
또 유적의 성격 규명 및 보존과 정비를 위해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학술 자문회의 결과를 근거로 지난 5월 2차 시굴 결과, 조사된 2호 봉화는 정방형에 가까운 석축단과 보축단이 계단식으로 조성된 흔적이 발견됐다.
당시, 현장을 방문한 자문위원들은 당산리 봉화유적은 봉화대 3기ㆍ집수시설ㆍ방호석축 등을 갖춘 관방유적으로 그 형태와 구조 등이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던 독특한 요소로 확인돼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또한 1~2호 봉화의 기초부에서 삼국시대 토기편이 출토돼 축조 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자료도 확보됐다.
3호 봉화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를 실시해 정확한 유적의 성격 및 구조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출토된 유물은 삼국~후백제시기 토기편들로 최근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전북 동부 산간지역 봉화유적들과 동일한 양상으로 2호 봉화의 경우, 자연암반을 굴착하고 석재를 덧대어 축조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시굴조사 당시 장방형 형태로 추정됐으나 발굴조사 결과, 연미형(燕尾形 = 제비꼬리 모양) 돌출부를 갖춘 유사한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 등 양끝 단에 돌출된 석축을 덧대어 방호석축과 연결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봉화로 이용되다 성벽과 망대 등을 갖춘 보루 등의 기능으로 변화됐을 가능성이 제시되면서 당시 점거하던 세력에 의해 유적의 기능이 변형됐을 가능성 역시 제기됐다.
무주군 임정희 문화재팀장은 "당산리 봉화유적의 조사 성과를 통해 학술적 가치와 문화유산을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해 보존과 관리의 필요성이 재확인됐다"며 "문화재 지정을 목표로 유적들이 체계적으로 보존과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년에는 필요한 발굴조사와 함께 문헌검토 및 주변 유적의 연관성과 타 지역 봉화유적과 비교 등 '당산리 봉화유적'의 학술적 가치를 재정립할 수 있는 학술대회를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Started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Dangsan-ri Bonghwa Relic' in Muju-gun
Check the protective stone shaft… Hosting academic conferences and promoting provincial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Reporter Junhwan Lee
An opinion has been raised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s a cultural property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Dangsan-ri Bonghwa Ruins' in Muju, Jeollabuk-do, which proves that it was a key point for territorial (power) expansion to the border area of the Three Kingdoms and Unified Silla Period.
Muju-gun announced on the 20th that "Dangsan-ri Bonghwa Ruins" has been evaluated as having high academic value and cultural preservation value, and has begun management, including application for designation as a provincial cultural property.
Stoneworks surrounding the top of the mountain at an altitude of 429.6m, where the forest fire training center of the Muju National Forest Management Office is located, and stonework facilities presumed to be beacons have been confirmed.
As a result of a precise index survey conducted as part of the excavation and maintenance project of Gaya cultural heritage in the Jeonbuk region in October of last year, three beacon towers (Bonghwa Chujeongji) distributed along the ridge of the mountain and a partially constructed fortress wall (stonework protection wall) around the beacon tower were found.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stonework facility, which is estimated to be about 6.9m east-west and about 7m south-north, which is estimated to be Bonghwadae, was confirmed.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cademic advisory meeting that additional investigations are needed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remains and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as a result of the second round of prospecting in May, the beacon No. this was found
At that time, the advisory committee members who visited the site evaluated the Dangsan-ri beacon site as having a very high academic value as it was identified as a unique element whose shape and structure had not yet been confirmed as a government defense site equipped with three beacon towers, water collection facilities, and protective stone walls.
In addition, pieces of pottery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excavated from the base of Beacon Fires No. 1 and 2, providing data to estimate the construction period.
There is also an opinion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detailed excavation investigation on Beacon No. 3 to understand the exact nature and structure of the remains.
The excavated artifacts are earthenware pieces from the Three Kingdoms ~ Later Baekje period. In the case of Beacon No. 2,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built by excavating natural bedrock and adding stones in the same way as the remains of beacon fires in the mountainous area of eastern Jeonbuk, where excavation research is currently underway.
In particular, at the time of the trial excavation, it was estimated to be in a rectangular shape, but as a result of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it showed a similar unique feature with a tail-shaped(燕尾形 = swallow tail) protrusion.
As the possibility that it was used as a beacon and changed to a function such as a fort equipped with a castle wall and a watchtower wa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function of the ruins was changed by the occupying forces at the time was also raised.
Lim Jung-hee, cultural heritage team leader of Muju-gun, said, "Through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Bonghwa ruins in Dangsan-ri, the need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has been reaffirmed in order to pass down the academic value and cultural heritage to descendants." We will do our best to make it happen," he said.
He added, "Next year, we are planning an academic conference to redefine the academic value of the 'Dangsan-ri Bonghwa Remains', such as reviewing the literature along with the necessary excavation research, the relevance of the surrounding ruins, and comparison with the Bonghwa Relics in other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