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지역
목조 문화재… 화재 예방 ‘취약’
전북, 전통사찰 114곳 가운데 2곳만 소방차 배치돼
김현종 기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사입력: 2012/11/02 [12:05]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낙산사와 국보 1호 숭례문 화재 등으로 목조건물 화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폭됐지만 예방이 미흡해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화재에 취약한 목조건물의 경우 만일 불길에 휩싸이면 삽시간에 속수무책으로 전소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전기 코드를 뽑는 등 원인 자체를 제공하지 말아야하는데도 불구하고 이 같은 주의가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지난달 31일 오전 2시 10분께 천년고찰 내장사 ‘대웅전’이 전기적 원인으로 추정되는 화마로 목조건물인 대웅전(89㎡)이 전소됐고 탱화(佛畵) 3점과 불상 1점․대웅전 뒤편 야산 165㎡가 소실됐다.

경찰은 “CC(폐쇄회로)TV 판독결과 화재가 발생한 시간대 ‘법당’에 출입한 사람이 없고 내부의 난방 전열 기구에서 불꽃이 일어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 국립과학수사연구소와 함께 정확한 발화점을 밝혀낸다”는 계획이다.

조사결과 맨 처음 불이 난 사실을 알게 된 것도 사찰 관계자가 아니라 CCTV를 지켜보던 보안업체 직원이었으며 사찰 안에는 불이 나면 소리가 나는 화재 감지시스템 조차 설치돼 있지 않아 초동조치가 이뤄지지 못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난 2009년 내장사에도 소방차가 배치됐지만 올해 초 노후화를 이유로 폐기처분 된 이후 소방차량 대신 방수총 시설을 추진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 1986년 국보인 ‘미륵전’을 포함 10여점의 보물급 문화제가 있는 김제 ‘금산사’에서 타 종교 신도의 방화로 인한 화재로 보물 제476호였던 ‘대적광전’이 불길에 휩싸여 붕괴되는 등 불상과 불화가 모두 소실됐다.

2005년에는 김제 ‘흥복사’에서 전기누전으로 불길이 치솟아 대웅전과 불상 등을 태웠고, 2008년 고창 ‘문수사’의 요사채(숙소)에서 불이 나 재산피해가 발생하는 등 크고 작은 전통사찰 화재가 잇따라 발생했다.

하지만, 전통사찰로 지정된 114곳 가운데 대부분 초동 진압을 하기에 역부족 상태인 소화전과 방수총 등의 시설만 갖춰져 있을 뿐 현재 소방차가 배치된 곳은 완주 ‘송광사’와 ‘금산사’ 2곳 뿐이다.

/ 김현종 기자

 
ⓒ 브레이크뉴스 전북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도배방지 이미지

내장사 관련기사목록

'희망 2025 나눔캠페인' 출범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