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진작과 소비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국내 최초‧최대 규모의 할인행사인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행사'가 전국적으로 펼쳐지고 있다.
미국의 쇼핑 대목인 블랙프라이데이를 벤치마킹한 이번 행사는 정부가 내수 침체를 극복하고자 기획한 세일 프로젝트다.
지역의 상경기 활성화에 일조함은 물론 꺼져가는 지역경제에 훈짐을 지핀다는 자부심으로 백화점이나 농협,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도 행사에 동참하고 있다.
지역경제가 어려운 만큼 사회적 책임을 느끼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로 풀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영향으로 지역경제 각 분야에서 소비를 촉진할 대규모 세일행사에 동참하는 분위기도 점차 확산되는 모습이다.
소비가 둔화하면 지역경제의 돈줄이 마르게 되고, 다시 경제활동을 위축시켜 더 심각한 소비 냉각을 부를 수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회생책 마련은 행정의 몫이라 치부하지 말고 경제 주체들이 모두 가능한 범위 안에서 동참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일부 유통업체 매출은 늘었다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신통치 않다.
요란한 홍보에 매장을 찾았다가 낮은 할인판매에 실망하는 소비자가 많았기 때문이다.
뚜껑을 열어보니 정기세일과 다를 바 없어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게 없다'는 얘기다.
저조한 할인폭은 정부가 내수 살리기 욕심에 조급하게 행사를 기획한 탓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유통업체 중심으로 행사를 진행하면서 반쪽짜리로 전락해 소비자들은 “소리만 요란했지 실속은 없었다”며 불만을 쏟아내고 있는 것이다.
이번 행사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각종 유인책이 있어야 했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행사를 준비하려면 최소한 몇 개월은 필요했는데 겨우 한 달 준비해 짜임새가 없었으며 여기에다 제조사가 불참해 할인폭이 줄어들어 행사 의미를 반감시켰다는 지적도 나와 정부와 지자체, 업계는 이런 의견들을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이번 행사가 실질적인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정착시키기 위해선 냉정하고도 치밀한 평가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소비자에게 즐거움을 주고 제조사와 유통업계에 힘을 주는 행사로 자리 잡기 위한 보완책이 무엇인지 지금부터 눈여겨 봐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