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4.11 총선에서 전북지역은 겉으로 보면 민주통합당 후보들의 우세로 갈무리됐지만 그 속내를 살펴보면 사실상 패배에 가깝다는 비약적인 분석이 나오고 있다.
9곳에서 당선의 영예를 거머쥔 후보들의 득표 현황을 분석할 경우 익산甲 이춘석 의원이 70%대의 득표율을 얻은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당선자들은 50∼60% 대에 그치거나 심지어 30%대에서 당선됐기 때문이다.
과거 전북지역 선거에서 말뚝만 꽂아도 당선된다는 등식을 증명이라도 하듯 민주당 후보들이 최고 85%에서 대부분 70%대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된 것을 비교하면 일당 독주가 아닌 다당화 양상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전주 완산乙 선거구의 경우 새누리당 후보가 사전 여론조사에서 당선까지 넘보는 등의 큰 변화를 일으키는 등 무려 35.79%에 이르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또, 선거초반부터 각종 여론조사에서 꾸준히 1위를 달려온 무소속 유성엽(정읍) 후보가 마지막까지 결집력을 발휘하며 민주통합당 장기철 후보의 도전을 여유롭게 물리치고 재선에 성공해 국회 금뱃지를 달았다.
남원․순창 지역구도 통합진보당 후보로 출마한 강동원 당선자가 28,007표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 원내대표․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 등 화려한 경력을 갖추고 4선에 도전한 현역 의원인 민주통합당 이강래(24,268표) 후보를 14%이상 앞지르며 교두보를 확보했다.
여기에 정당투표에서도 전반적으로 통합진보당과 새누리당이 전반적으로 선전한 만큼, 향후 전북지역 정치권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돼 귀추가 주목된다.
이처럼, 과거 맹목적인 정서가 사라지는 전환점을 맞게 된 것은 지역개발 논리와 함께 민주통합당 중앙당 당직자들이 지역 정서를 감안하지 않은 지분 공천과 선거인단 사전 모집 등 공천 운영상의 문제점이 노출됐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제19대 총선 전북지역 최종 투표율은 역대 최저를 기록했던 지난 18대 총선 투표율 47.5%보다 6.1%가 오른 53.6%로 집계됐지만 2010년 6.2 지방선거 59.3%보다 5.7%가 낮은 분포다.
이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무주군과 장수군이 65.7%로 가장 높았고 군산이 47.2%로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 김현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