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칼럼】군산시는 왜 김제 땅을 욕심내는가!
이건식 前 전북 김제시장
김현종 기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사입력: 2021/10/07 [15:09]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이건식 前 전북 김제시장. / 사진 = 브레이크뉴스 전북취재본부 DB                                                  © 김현종 기자

새만금 사업은 40,900ha(12천만평)의 새로운 육지가 형성되는 국가사업이다.

 

고군산도를 포함한 새만금 땅이 많은 역사문헌에 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 1896년 갑오경장 때까지 1200년 이상 김제만경 관할이었다.

 

갑오경장 때 고종의 칙령으로 서해안 도서를 일제강점기인 1914년까지 18년간 전남지도군에 편입됐다가 해체시 김제로 복원이 당연하나 을사오적(乙巳五賊) 이완용의 압력으로 옥구군에 귀속된 것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191431일 조선총독부령 111호에 의거, 현 새만금지역에 해상경계선을 설정해 김제는 기존의 37Km 해안선마저 없어져 바닷길이 막힘으로써 1,500세대 3,329명 어민의 생계가 어렵게 됐다.

 

위와 같이 내륙지역으로 전락함을 면해보고자 새로운 땅 새만금지역의 합리적이고 합법적인 경계 결정으로 협소한 바닷길이라도 열겠다는 염원으로 지난 2010121일 부안군과 함께 대법원에 제소한 결과, 연접개념에 따라 33.9Km의 방조제를 부안군 4.7Km(1호 방조제)김제시 9.9Km(2호 방조제)군산시 19.3Km(345호 방조제)의 관할권을 판결했다.

 

, 20151026일 행안부 산하 중앙분쟁 조정위원회도 동일한 결정을 내렸다.

 

이에 불복한 군산시부안군은 20151027일 대법원에 제소했고, 군산시는 2016111일 헌법재판소에 제소한 결과, 헌법재판소는 2020924일 각하 판결했고 대법원 역시 2021114일 기각 판결했다.

 

이에 따라, 군산시김제시부안군의 행정경계를 만경강과 동진강의 하천 최심선이라는 기존의 사실에 추가해 대법원 판결로 새만금지역의 경계선까지 명확하게 결정됐다.

 

이제는 두 번의 대법원 판결과 헌재 판결을 수용하고 도민 모두가 지혜와 능력을 총결집해 새만금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새만금사업은 역대 정권에서 찬밥신세를 면치 못해 만 30년 동안 매립공사의 시작에 불과한 지지부진으로 도민 모두가 울분으로 가득 차 있다.

 

그런데, 군산시는 상식에 어긋나는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지난해 1125일 김제 땅 심포에서 2호 방조제까지 20.3Km이르는 '동서도로'가 개통돼 당연한 행정구역 결정을 하려는데, 새만금개발청은 김제시가 요청한 '지적측량성과도'를 보내지 않았다.

 

전북도는 '새만금권역 협의회'발족이 무색하게 수수방관으로 일관해 진난 820일 군산시가 동서도로 행정구역 관할결정을 김제시처럼 행안부에 신청하는 억지를 부렸다.

 

이는 대한민국의 모든 법질서와 이웃사촌의 관습상식마저 무시하는 어불성설이다.

 

더욱이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설정한 해상경계선으로, 고군산군도 관할 등 엄청나게 특혜를 받은 군산시가, 김제 땅이 분명한 '동서도로'까지 차지하려는 것은 마치 '우리 땅 독도'를 차지하려는 일본의 만행과 똑같은 것이다.

 

무엇보다 지체 없이 매진해 새만금사업 완공을 앞당겨야 한다.

 

이유는, 단군 이래 최대 국토 확장 사업인 새만금사업에 대한 온 국민특히 전북도민의 기대가 막중하기 때문이다.

 

이제는 새만금 지역의 미래지향적인 비전을 세워 조기완공통합행정구역 논의동남아권 허브 건설 등에 모든 역량과 지혜를 집중해야 한다.

 

아래는 위 칼럼을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의 '전문'이다.

Below is the 'full text' in English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in the column above.

 

ColumnWhy is Gunsan so greedy for the land of Gimje?

Former Mayor of Gimje, Jeollabuk-do, Jeonbuk

 

The Saemangeum project is a national project in which 40,900 ha (120 million pyeong) of new land is formed.

 

According to many historical documents, the land of Saemangeum, including Gogunsando, was under the jurisdiction of Gimje and Mangyeong for more than 1,200 years until 1896, during the Unified Silla, Goryeo, and Joseon dynasties.

 

At the time of Gapogyeongjang, the West Coast Islands were incorporated into Jeonnamjido-gun for 18 years until 1914,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the decree of King Gojong. that is leading up to today.

 

To make matters worse, according to Ordinance 111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n March 1, 1914, a maritime boundary was set in the present Saemangeum area.

 

As a result of filing a complaint with the Supreme Court with Buan-gun on December 1, 2010 with the desire to open even a narrow sea road as a rational and legal boundary decision for the new land, Saemangeum, in order to avoid becoming an inland area as described above, the result of a complaint with the Supreme Court of The jurisdiction of the seawall of Km was 4.7Km in Buan-gun(Breakwater No. 1), 9.9Km in Gimje City(Breakwater No. 2), and 19.3Km in Gunsan City(Breakwater No. 3, 4, and 5).

 

Also, on October 26, 2015, the Central Dispute Mediation Committee under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ade the same decision.

 

Gunsan-si and Buan-gun, dissatisfied with this, filed a complaint with the Supreme Court on October 27, 2015, and the city of Gunsan filed a complaint with the Constitutional Court on January 11, 2016. It was dismissed on the 14th of May.

 

Accordingly,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of Gunsan-si, Gimje-si, and Buan-gun were added to the existing fact that they were the deepest lines of the Mangyeong and Dongjin Rivers, and the Supreme Court ruling clearly determined the boundaries of the Saemangeum area.

 

Now,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two Supreme Court ruling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rulings, and to spur the development of Saemangeum by gathering all the wisdom and ability of all residents.

 

The Saemangeum project has been in a state of disrepair under successive governments, and all residents are filled with resentment due to the sluggish support that has been just the beginning of the reclamation project for 30 years.

 

However, Gunsan City is causing problems that go against common sense.

 

On November 25, last year, the 'East-West Road', which stretched 20.3 km from Simpo in Gimje to Seawall No. 2, was opened to determine the administrative district, but the Saemangeum Development Administration did not send the 'cadastral survey results' requested by the city of Gimje.

 

Jeollabuk-do was consistent with the inauguration of the 'Saemangeum Regional Council', and on August 20, Jinnan, Gunsan-si applied to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o decide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Dongseo-do just like Gimje-si.

 

This is an absurd statement that ignores all the laws and order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even the customs and common sense of its neighbors.

 

Moreover, as a maritime boundary line set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unsan City, which received tremendous privileges such as jurisdiction over Gogunsan Islands, and even the 'East-West Road' with clear Gimje land, is like Japan's atrocities to occupy 'our land, Dokdo'. will be.

 

Above all, we need to advance the completion of the Saemangeum project by pushing forward without delay.

 

The reason is that the expectations of the entire nation, especially Jeollabuk-do, for the Saemangeum Project, the largest land expansion project since Dangun, are high.

 

Now, we need to establish a future-oriented vision for the Saemangeum region and focus all our capabilities and wisdom on early completion, discussion of integrated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construction of a hub for Southeast Asia.

ⓒ 브레이크뉴스 전북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도배방지 이미지


전주 팔복동 이팝나무 명소 '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