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전주 한옥마을 핵심문화시설인 "전주공예품전시관"이 수공예문화와 산업과 손의 가치를 담은 복합문화공간으로 새롭게 옷을 갈아입은 가운데 17일 김승수(가운데) 전주시장이 재개관 행사에 참석해 주요 참석자들과 함께 테이프 커팅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 = 전주시청 © 이용찬 기자 |
|
▲ 17일 김승수 전주시장이 복합문화공간으로 새롭게 탄생한 '전주공예품전시관' 재개관 행사에서 "공예상품 판매라는 단순한 역할을 넘어 공예를 통해 시대의 라이프 스타일을 만드는 공간이자 손의 가치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며 대중이 모여 문화를 느끼고 소통하는 공간으로 명실상부한 공예문화를 선도하는 핵심공간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는 축사를 하고 있다. © 이용찬 기자 |
|
▲ 김승수(왼쪽에서 세 번째) 전주시장이 '전주공예품전시관' 판매관에서 지역공예인들과 주민들의 염원을 한지에 적어 붙이는 퍼포먼스 연출에 앞서 손이 만들어내는 문화 가치를 뜻하는 "손 모형"을 배경으로 주요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이용찬 기자 |
|
전북 전주 한옥마을 핵심문화시설인 "전주공예품전시관"이 수공예문화와 산업과 손의 가치를 담은 복합문화공간으로 새롭게 옷을 갈아입었다.
17일 전주시와 (재)한국전통문화전당은 전주공예품전시관에서 대한민국 공예문화의 거점 공간으로 새롭게 출발을 선포하는 재개관 행사를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
이날 재개관 행사에는 김승수 전주시장과 한국전통문화전당 김선태 원장을 비롯 공예 분야 무형문화재와 공예작가 및 지역 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실용성과 심미성을 갖춘 전주 전통공예의 백미 중 하나인 수많은 지우산이 전주공예품전시관과 어우러져 파란 하늘을 아름다운 빛깔로 수놓았다.
특히 손이 만들어내는 문화 가치를 뜻하는 '손 모형'을 사전에 제작해 현장에서 지역공예인들과 주민들의 염원을 한지에 적어 붙이는 퍼포먼스가 성황리에 진행됐다.
또 전주한옥마을 중심거리인 태조로는 이날 재개관 행사를 기념해 지역 작가들의 손길로 알록달록 털실 옷을 입은 나무들이 여행객들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연출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새롭게 재개관한 '전주공예품전시관'은 오랜 정비 기간을 거쳐 ▲ 판매 ▲ 전시 ▲ 교육 ▲ 체험 등이 집약된 수공예산업 관련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됐으며 연면적 1,084㎡ 규모의 한옥 6동을 판매관과 명품관‧안내관‧전시1관‧전시2관‧체험관‧다목적관 등 7개 공간으로 구성됐다.
운영시간은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며 매주 월요일은 정기 휴관일로 전시관 운영에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전주공예품전시관 운영사무실’로 문의하면 안내를 받을 수 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축사를 통해 "전주공예품전시관은 공예상품 판매라는 단순한 역할을 넘어 공예를 통해 시대의 라이프 스타일을 만드는 공간이자 손의 가치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며 대중이 모여 문화를 느끼고 소통하는 공간으로 명실상부한 공예문화를 선도하는 핵심공간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