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남이 낳은 조선의 3대 명필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 = 1770~1847) 선생에 관련된 연구 및 선양사업 활성화를 위한 학술대회가 전북대 허정주 부교수 사회로 전북대 사범대 본관 3층 멀티미디어센터에서 개최되고 있다. / 사진 = 이용찬 기자 © 이용찬 기자 |
|
호남이 낳은 조선의 3대 명필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 = 1770~1847) 선생에 관련된 연구 및 선양사업 활성화를 위한 학술대회 3부 순서 종합토론은 일부 공무원의 전문성 부족이 도마 위에 올랐다.
특히 정읍지역 비지정 문화유산 가운데 문화재로 등록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학술적ㆍ문화사적 조명을 받지 못했기 때문으로 압축된다.
창암 이삼만 선생이 그동안 정치권과 행정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이유 역시 이 같은 문화사적 가치에 대한 무지 때문이라는 것이다.
창암 이삼만이 학계에 처음 알려진 시기는 192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창암에 대한 첫 접근은 일제강점기 시절 선각자들을 통해 이뤄졌다.
일본인들의 행악이 점점 더 혹독해지자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 1864~1953)을 위시한 선각자들은 사라져가던 민족혼을 되살리기 위해 삼국시대부터 근대기까지 회화사와 서예 사에 등장하는 서화가들의 기록을 발췌해 기록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서화가들의 기록을 시대 순으로 엮어 발간한 '근역서화징 하(槿域書畫徵. 下 = 시공사ㆍ 857쪽)에 "베를 빨아서 글씨를 써서 다 까맣게 되면 빨아서 다시 쓰곤 했다"는 조선의 3대 명필 창암 이삼만에 대한 기록이 담겼다.
하지만, 그에 관련된 학술적 조명은 이뤄지지 않았다.
시간이 흘러 1982년 영남대 정명세씨가 석사학위 논문을 통해 '고시조 문헌의 연구-역대 시조 전서 미수록 신 자료를 대상으로'에서 '이삼만 시조지와(李三晩 詩操趾窩)'에 관련된 연구를 발표했다.
이후 1985년 '李蒼巖 시조연구'ㆍ1987년 '서예가 이삼만의 시조'가 발표되며 이삼만의 생애사가 처음으로 세상에 알려졌다.
전북에서는 1983년 전북대 최승범 교수가 '전북 인불'에 '호남 제일의 명필 창암 이삼만'이라는 주제의 첫 소논문에 이삼만이 쓴 비문 '고 명창심녀지묘(故 名唱沈女之墓)'에 관련된 글을 자세히 해석해 설명하는 접근이 이뤄진 바 있다.
사실 당시까지 서예적 접근이 아니었지만 계기로 작용돼 창암의 ▲ 서첩 ▲ 간찰 ▲ 편액 등의 작품들이 수집되기 시작했다.
당시, 작촌(鵲村) 조병희(趙炳喜 = 1910~2005) 선생이 주도했고 1988년 전주문화방송이 발간한 '창암 이삼만 유묵 첩'에 '창암 이삼만 서도와 생애'라는 기록을 남겨 기초적이기는 하지만 서예가로서 이삼만의 일생과 서예 이론 등 본격적인 학술적 연구가 시작된 바 있다.
전북대 허정주 부교수는 "현재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관련 문화 콘텐츠는 500여건에 가깝지만, 창암 이삼만의 콘텐츠를 모두 합해야 4건 정도 추진이 시도되고 있다. 여기에는 창암에 비교해 추사의 명망이 서울과 전국에서 더 높다는 점이 그 첫 번째 이유가 되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완당 또는 추사의 서체가 진체와 가깝고 그를 쫓는 서체들 또한 전국에 수많은 복본 서체가 존재할 수 있지만, 창암의 서체는 창암이 아니면 쓸 수 없던 졸박한 서체였다는 점에서 호남의 서체이자 한국의 자유분방한 일운무적(逸韻無跡)ㆍ득필천연(得筆天然)의 자연 천성적 필법이었다는 점에서 가장 대표적인 '한국의 서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종합토론을 압축하면 "창암의 서체가 조명 받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정읍ㆍ전주ㆍ완주 지역에서 주도권 다툼이 첫 번째 이유고 이미 수많은 세월 동안 여러 경험상 전문성 없는 전북 지역 정치가들과 행정공무원들의 무지가 불러온 결과가 두 번째"로 지적됐다.
한편, 문화재청은 2010년 조선 후기(17~19세기) 명필 19명을 문화재(2010-14호)로 공고했다.
17세기 인물은 ▲ 허목(許穆) ▲ 조수(趙凁) ▲ 윤순거(尹舜擧) ▲ 송시열(宋時烈) ▲ 송준길(宋浚吉) ▲ 이지정(李志定) ▲ 이서(李漵) ▲ 이수장(李壽長) 등이다.
18세기 인물로 ▲ 윤순(尹淳) ▲ 이광사(李匡師) ▲ 이인상(李麟祥) ▲ 강세황(姜世晃) ▲ 조윤형(曺允亨) ▲ 이한진(李漢鎭) ▲ 정약용(丁若鏞)을 꼽았다.
19세기 인물로는 ▲ 유한지(兪漢芝) ▲ 이삼만(李三晩) ▲ 김정희(金正喜)다.
하지만, 세상에 알려진 조선 후기 3대 명필은 ▲ 눌인(訥人) 조광진(趙匡振) ▲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눌인(訥人)이 평양 사람이었다는 점에서 그동안 조명이 이뤄지지 못했고 남한의 추사(秋史)와 창암(蒼巖)이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중앙의 거물인 추사와 달리 창암은 유난히 조명도 어렵고 선양사업 역시 순탄치 않은 상황이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ctivation of 'Changam Lee Sam-man' Shenyang business… Academic conference (bottom)
Part 3 Comprehensive discussion points out 'ignorance of cultural historical values' by politicians and administration
Reporter Yong-chan Lee
The three-part general discussion at an academic conference for research related to Lee Sam-man(李三晩 = 1770–1847), one of the three great writers of Joseon who was born by Honam and revitalizing the Shenyang business, was due to the lack of professionalism of some civil servants. .
In particular, among the un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of the Jeongeup area, the reason why they were not registered as cultural assets is condensed because they did not receive academic and cultural light.
The reason why Changam Lee Sam-man has not received the attention of politicians and administration is also because of his ignorance of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s.
The time when Changam Lee Samman was first known to academia dates back to 1928.
The first access to Changam was made through pione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the Japanese became more and more severe, pioneers such as Weichang Oh Sechang(吳世昌 = 1864-1953) extracted the records of calligraphers and calligraphers who appeared in the history of painting and calligraphy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modern period in order to revive the lost national spirit. year began to record.
As a result, the Joseon Dynasty states, "I used to wash and re-write after washing the linen and writing it when it was all black." It contains the record of Samman Lee, one of the three famous writers of Changam.
However, there was no academic illumination related to it.
As time went by, in 1982, Ms. Jeong Myeong-se of Yeungnam University published her master's thesis on 'Research on Gosijo Literature-A Study on the New Data Unrecorded in All Historical Sijos' through a thesis on 'Lee Sam-man Sijojiwa'. announced
Afterwards, 'Research on the Sijo of 李蒼巖' in 1985 and 'The Progenitor of Calligrapher Samman Lee' were published in 1987, and the life history of Samman Lee became known to the world for the first time.
In Jeollabuk-do, in 1983, Professor Seung-beom Choi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ublished an article related to the inscription 'Late Myeongchang Simnyeojimyo' written by Lee Sam-man in his first thesis on the subject of 'The best writer in Honam, Changam Lee Sam-man' in 'Jeonbuk Inbul'. An approach to interpret and explain in detail has been taken.
In fact, it was not a calligraphic approach until then, but it served as an opportunity and started to collect works such as Changam's ▲ Seocheop ▲ Ganjal ▲ Pyunak.
At that time, Jo Byeong-hui(趙炳喜 = 1910~2005), a teacher from the village, led by Jeon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in 1988, and left a record of 'Changam two and thirty thousand calligraphy and life' in the 'Changam Two-Third-Thousand Yu-Muk Concubines', although basic as a calligrapher. A full-fledged academic study has begun, including the life of Samman Lee and the theory of calligraph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Heo Jeong-ju said, “Currently, there are close to 500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Chusa Kim Jeong-hee, but only 4 contents related to Changam Lee Sam-man are being tried to promote it. The higher it is in Seoul and across the country may have been the first reason,” he explained.
However, "The typeface of Wandang or Chusa is close to the true type, and there may be many duplicate typefaces across the country as well as the typefaces that pursue him.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typeface' in that it was the natural writing method of Han Ilunmujeok and Deukpil Natural."
To summarize the general discussion, “The reason why Changam’s typeface is not getting the attention is the struggle for leadership in the Jeongeup, Jeonju, and Wanju regions first. The result was pointed out as "second."
Meanwhile, in 2010,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nounced the 19 mast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17th to 19th centuries) as cultural assets (No. 2010-14).
17th century figures are ▲ Mok Heo(許穆) ▲ Jo Soo (趙凁) ▲ Yun Sun-geo(尹舜擧) ▲ Song Si-yeol(宋浚吉) ▲ Song Jun-gil(宋浚吉) ▲ Lee Ji-jeong(李志定) ▲ Lee Seo (李漵) ▲ Lee Su-jang(李壽) to be.
In the 18th century, ▲ Yoon Soon(尹淳) ▲ Lee Gwang-sa(李匡師) ▲ Lee In-sang(李麟祥) ▲ Kang Se-hwang ▲ Jo Yun-hyeong(曺允亨) ▲ Lee Han-jin ▲ Jeong Yak-yong(丁若鏞) were selected.
The 19th century figures are ▲ Yuhan-ji(兪 Han芝) ▲ Lee Sam-man(李三晩) ▲ Kim Jeong-hee(金正喜).
However, the three great writ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known to the world are ▲ Nullin(訥人) Jo Gwangjin(趙匡振) ▲ Chusa (秋史) Kim Jeonghee(金正喜) ▲ Changam(蒼巖) and Lee Samman(李三晩).
In this respect, lighting has not been achieved in the sense that Nullin was from Pyongyang, and there were Chusa and Changam in South Korea. Business is also not ea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