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정읍 (사)수제천보존회가 조선 세조 때의 음악을 모아 서명응 등이 1759년에 편찬한 '대악후보(大樂後譜)'의 악곡 '정읍(井邑)'에 성종 시대에 편찬된 '악학궤범(樂學軌範)'의 무고(舞鼓) 정재(呈才)를 재현하는 '무고 복원연주회'를 지난 24일 정읍사 예술회관 무대에 올려졌다. / 사진 = 박종근씨 제공 © 이용찬 기자 |
|
▲ '무고 복원연주회' 축하 행사로 '생황ㆍ해금ㆍ신디'가 어우러진 무대로 꾸며지고 있다. © 이용찬 기자 |
|
▲ 바리톤(김동식 = 왼쪽)ㆍ소프라노(고은영 = 오른쪽)가 꾸민 '타나 남을 가슴으로ㆍ귀천ㆍ새야새야' 등의 성악 무대. © 이용찬 기자 |
|
▲ 경북대 윤명구 교수의 '메나리조를 위한 피리협주곡' 독주. © 이용찬 기자 |
|
전북 정읍 (사)수제천보존회(이사장 장기철)가 조선 세조 때의 음악을 모아 서명응 등이 1759년에 편찬한 '대악후보(大樂後譜)'의 악곡 '정읍(井邑)'에 성종 시대에 편찬된 '악학궤범(樂學軌範)'의 무고(舞鼓) 정재(呈才)를 재현하는 '무고 복원연주회'를 지난 24일 정읍사 예술회관 무대에 올려 학계에 비상한 관심이 모아졌다.
특히 '무고 복원연주회'는 2019년 9월 '제3회 수제천보존회 학술세미나'에서 한국전통문화연구원 나연주 수석 연구원의 발제로 '악학궤범에 의한 무고복원 고찰'이 발표돼 춤(무고) 복원의 방향성과 문화사적 가치가 언급된 이후 복원된 무고(舞鼓)가 무대 위에 올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수제천 연주단이 자체적으로 '동동'과 무고 '정읍'을 악(樂)ㆍ가(歌)ㆍ무(舞) 형태로 복원한 결과물을 무대에 올려 객석을 들썩였다.
이날 무고 복원 축하 행사는 '생황'과 '해금'2중주곡 '비익련리'를 배재현ㆍ정다영ㆍ'신디'전주연의 무대로 꾸며졌다.
또 경북대 윤명구 교수의 '메나리조를 위한 피리협주곡'독주ㆍ바리톤 김동식ㆍ소프라노 고은영의 성악무대 '타나 남을 가슴으로ㆍ귀천ㆍ새야새야'등은 관객들의 호평을 받았다.
그동안 정읍에서 무고가 복원돼야 한다는 여론은 '악학궤범'권5 '성종조향악정재도의(時用鄕樂呈才圖儀)'에는 무고(舞鼓)와 동동(動動)·무애(無㝵)의 3가지가 '정읍사'를 비롯 10편의 다양한 노래와 함께 춤사위 내용이 수록됐다.
수제천은 정읍이라는 지역명을 가진 유일한 전통 기악곡으로 수명이 하늘처럼 영원하기를 기원하는 의미로 궁중 의례와 연향에 사용되고 있다.
'수제천연주단'이금섭 감독과 장태연 등 정재 복원 팀은 1930년대 영상을 토대로 무고를 직접 학습하며 앞서 이왕직아악부(1913년)에서 춤사위를 익히며 춤의 절차를 상세히 기록한 성경린과 이병성의 '정재철(呈才綴)'을 모델로 본격적인 복원에 돌입했다.
현재까지 남아있는 조선시대 무고정재 영상은 조선조 말기인 순조 28년 '진작의궤'에서 효명세자가 대리청정 시기에 아버지 순조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한문 가사를 새로 지어 무고를 출 때 부르도록 했던 영상이 남아있다.
조선시대 무고는 조선조 말기와 일제강점기 이후 조선의 악무를 관장했던 장악원이 교방사(1987년)로ㆍ이왕직아악대(1901년)ㆍ이왕직아악부대(1913년)로 이어지는 동안 명칭이 변경되는 등 기능 역시 축소됐지만 정재(呈才 = 고려와 조선시대 궁중에서 여령이나 무동이ㆍ지방 관아에서 기녀들이 공연했던 악가무의 종합예술)는 1945년까지 존속된 바 있다.
정읍 수제천연주단은 무고 복원을 위해 1923년 이왕직아악부가 순종 50주기 탄신 기념 축하를 위해 재현한 무고에서 무원 4인이 하나의 북을 치고ㆍ협무 4인이 꽃을 들고 추던 전통이 해방 이후 국립국악원으로 이어져 현재까지 보존 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성경린과 이병성이 남긴 '정재철(呈才綴)'을 주요 무고 복원의 고증자료로 삼아 복원을 추진했다.
궁중 무고는 연희(宴戱)의 규모에 따라 무원이나 북의 수가 달라지기는 했지만 고려와 조선 전기보다 후기로 이어지며 규모가 점차 커졌다.
이에 따라, 조선시대 무고는 궁중 정재에서 보이는 정중동(靜中動)의 미감보다는 동중정(動中靜)의 역동적인 미적 특징을 지닌 춤이라는 점에서 향악정재의 백미로 꼽힌다.
정읍에서 무고 복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논의는 오래전부터 있었다.
'고려사악지속악정재(高麗史樂志俗樂呈才)'에 시중(侍中) 이혼(李混 = 1252~1312)에 관련된 설명과 함께 "무고는 시중 이혼이 영해에 폄직돼 있을 때 바다에 뜬 나무토막을 얻어 그것으로 무고를 만들었는데 소리가 웅장하였다. 춤은 변하여 한 쌍의 나비가 훨훨 날아 꽃을 감도는 것 같고, 두 마리의 용이 용감스럽게 구슬을 다투는 것 같다. 악부에서 가장 기묘한 것"이라고 기록돼 있다.
이처럼 무고는 고려시대에 시작된 것이었지만 조선시대로 이어지며 그 규모가 커졌다.
성종 대에 이르러 '악학궤범'에 무고 정재에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이 수록됐고 중요한 사실은 '시용향악정재도의'에 정재 진행 시 반드시 지켜야 할 사항 가운데 "무고(舞鼓)와 동동(動動)은 정읍에 맞춰 춤을 춘다"는 기록이 있다.
정읍에서는 이미 악곡 명 '정읍'이 현재의 지역인 '정읍'을 가리키는 지역 명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만큼, 무고 복원에 손을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는 여론에 무게중심이 실렸다.
그동안 무고와 음악 복원을 위해 '대악후보'의 음악은 단국대 음악ㆍ예술대학 임미선 교수가 음악적 고증과 복원에 나섰다.
무고는 한국전통문화연구원 인남순 윈장이 '악학궤범'의 기록을 토대로 무고 춤사위 복원에 앞장섰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안현정 교수가 작ㆍ편곡한 무고를 군산대학교 평생교육원 장태연 한국무용전담 교수와 이현숙ㆍ진일례ㆍ박주현 단원의 '정재(呈才)'로 꾸며졌다.
한편, 인남순 원장은 본지와 통화에서 "고려시대 원나라 황제 세조 쿠빌라이의 친딸 홀도로게리미실과 결혼했던 충렬왕은 백야단 무비(無比)를 무척 총애했는데 백야단(白也丹·?~1297)은 태산군(泰山郡 = 현 전북 정읍시) 사람인 시씨(柴氏)의 딸로 정읍 출신 '무비'의 비호 속에 시중을 지냈던 이혼이 영해로 유배돼 있으면서도 북을 만들어 춤과 노래를 얹은 정재를 지은 것이 '무고'"라고 설명했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eongeup Sujecheon Preservation Society 'Mugo' Restoration Concert
Evil(樂)ㆍSong(歌)ㆍDance(舞) forms… academic interest
Reporter Lee Yong-chan
Jeonbuk Jeongeup Sujecheon Preservation Society(Chairman Jang Ki-cheol) collected music from the reign of King Sejo of the Joseon Dynasty and included it in the song ‘Jeong-eup’ in ‘The Great Music Candidate’ compiled in 1759 by Seo, Seo-eung and others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 On the 24th, the 'Reconstruction Concert', which reproduces the ignorance of the compiled 'Akhak Gwebeom', was put on the stage of the Jeongeupsa Art Center on the 24th and attracted extraordinary interest in the academic world.
In particular, the 'Innocent Restoration Concert' was presented at the '3rd Sujecheon Preservation Society Academic Seminar' in September 2019 by Na Yeon-ju, senior researcher at the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e 'Consideration of Innocent Restoration due to Accidental Conservation' was announced. This is the first time that the restored Mugo(舞鼓) has been put on the stage since the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s were mentioned.
The Sujecheon Ensemble performed its own restoration of 'Dong-dong' and 'Jeong-eup' in the form of music, song, and dance on stage, shaking the audience.
The celebration of the restoration of innocence on this day was decorated with the stage of Bae Jae-hyeon, Jeong Da-young, and Jeon Ju-yeon of 'Cindy' for the duets 'Biikryun-ri' of 'Saenghwang' and 'Haegeum'.
In addi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Yoon Myung-koo's solo performance of 'Pipe Concerto for Menarizo', baritone Kim Dong-shik, and soprano Ko Eun-young's vocal stage 'Tana Others in Your Heart, Gwicheon, Saeya Saeya' received favorable reviews from the audience.
In the meantime, public opinion that negligence should be restored in Jeongeup has been expressed in 'Akhak Gwebeom' Volume 5 'Seongjong Johyangak Jeongjaedoui' The three songs included 'Jeongeupsa' and 10 various songs along with the contents of the dance moves.
Sujecheon is the only traditional instrumental song with a regional name of Jeongeup, and it is used in royal ceremonies and banquets to wish for eternal life like the sky.
The Jeongjae Restoration Team, including director Lee Geum-seop and Jang Tae-yeon of 'Handmade Natural Ensemble', directly learned the martial arts based on videos from the 1930s, and learned the dance moves in the Lee Wang-jik Aakbu(1913) and recorded the dance procedure in detail by Seong Kyung-lin and Lee Byung-seong's 'Jeong Jae-cheol(呈才)'.綴)' as a model, and started full-scale restoration.
The video of unfixed material from the Joseon Dynasty that has survived to this day is a video in 'Jinjak Uigwe', in the 28th year of King Sunjo,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n which Crown Prince Hyomyeong wrote new Chinese lyrics to celebrate the birthday of his father Sunjo during the period of cleanliness. Remains.
In the Joseon Dynasty, Mugo was renam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Daejakwon, who was in charge of Joseon's musical dance, continued to Gyobangsa (1987), Lee Wangjik A Band(1901), and Lee Wang Jik Aak Band(1913). Although the back function was also reduced, Jeongjae(a comprehensive art of music and dance performed by courtesans in Yeoryeong, Mudongi, and provincial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survived until 1945.
The Jeongeup Suje Natural Ensemble was recreated in 1923 to commemorate the 50th anniversary of Sunjong’s 50th birthday in 1923 for the restoration of the Mugo. The restoration was promoted by using the 'Jeong Jae-cheol(呈才綴)' left by Seong Kyung-lin and Lee Byung-seong as historical materials for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alse information, as it has been preserved and passed down to the present day.
Although the number of muwon and drums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oyal court, the royal mugo gradually grew in size from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Accordingly, Mugo in the Joseon Dynasty is regarded as the highlight of Hyangakjeongjae in that it is a dance with the dynamic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ongjungjeong rather than the aesthetic sense of Jeongjungdong seen in the royal palace.
There has been a long discussion about the need to restore false information in Jeongeup.
Along with the explanation related to the divorce(李混 = 1252-1312) in 'Goryeo saak jigakjeongjae' "I got a piece of paper and made a mugo out of it, and the sound was magnificent. The dance changes and it's like a pair of butterflies flying around a flower, and it's like two dragons fighting for beads bravely. It's the strangest thing in the band." It is recorded.
As such, Mugo started in the Goryeo Dynasty, but continued to grow in the Joseon Dynasty.
By the time of King Seongjong, the 'Akhak Gwebeom' contained gener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rging of false information, and the important fact is that among the things that must be observed when proceeding with the purification in the 'Siyonghyangakjeongjaedoui', "Ignorance and movement are There is a record of dancing together."
In Jeongeup, as it was already revealed that the name of the song 'Jeongeup' was a regional name referring to the current region 'Jeongeup', the public opinion that we should not put our hands on the restoration of false information was put on the weight of the public opinion.
In the meantime, in order to restore false information and music, Professor Lim Mi-sun of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usic and Arts started to examine and restore the music of 'Great Music Candidate'.
According to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Research Institute, In Nam-soon Winjang took the lead in restoring the dance moves based on the record of 'Aghak Gwibeom', and Ewha Womans University's Korean Music Department Professor Ahn Hyeon-jeong composed and arranged the Mugo. It was decorated with 'Jeongjae(呈才)' by member Ye Yee and Park Joo-hyeon.
On the other hand, Director In Nam-soon said in a telephone conversation with the newspaper, "King Chungnyeol, who married Holdoro Gerimisil, the biological daughter of Kublai, the Yuan emperor of the Goryeo Dynasty, was very fond of Baek Ya-dan's movie. Daughter of the Si clan, a native of the county(泰山郡 = present-day Jeongeup-si, Jeollabuk-do), who served as a servant under the protection of 'Movie' from Jeongeup, was exiled to the territorial sea.'" he expl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