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북교육청, 폐교 활용 '상생 정책' 전환
서거석 교육감 공약 이행 노력 결과…지역 특성 및 수요 반영
박성호 기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사입력: 2022/12/20 [11:07]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전북도교육청이 서거석 교육감 취임 이후 그동안 보존 내지는 관리 위주의 소극적 정책에서 지역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폐교 활용 정책으로 전환했다. (전라북도교육청 전경) / 사진 = 브레이크뉴스 전북취재본부 DB     © 박성호 기자



 

 

 

전북도교육청이 지역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폐교 활용 정책을 추진한다.

 

20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기존 폐교 활용은 보존 내지는 관리 위주의 소극적 정책을 추진했으나 서거석 교육감 취임 이후 지역과 상생하는 맞춤형으로 전환했다.

 

특히 기본 방향은 학생 교육활동을 위한 체험시설 청소년 자치 예술미래 공간 어린이 생태놀이터 자체 교육기관 설립 등이 골자다.

 

또한 폐교가 위치한 지자체와 협의하는 절차를 거쳐 문화 체육시설 평생 교육시설 생태 환경시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폐교 활용 기본방침을 지역 교육지원청 업무담당자들에게 안내하고 정책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지역과 상생하는 맞춤형 폐교 활용 T/F'구성했다.

 

또 타시도 폐교 활용 현황 등을 분석하는 등 지역 교육지원청 업무담당자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통해 '폐교재산 활용 및 관리 업무 매뉴얼'제작했다.

 

매뉴얼은 1= 폐교재산 정의 2= 폐교재산 활용 방향 3= 폐교재산 활용 실무 4= 폐교재산 관리 일반 5= 법령해석 및 질의회신 사례 등으로 구성됐다.

 

아울러, 폐교재산 정책대부매각 요령공부 관리 및 주요 민원 사례까지 담겼다.

 

서거석 전북교육감은 "교육행정의 신뢰도와 투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폐교 활용 방안을 지역 맞춤형으로 마련했다""지역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역과 상생하는 맞춤형 폐교활용 계획 수립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내지역 폐교는 총 40곳으로 자체활용 24대부 9보존 폐교(섬 지역 = 군산 4부안 3) 등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eonbuk Office of Education, using closed schools for 'regional coexistence, policy' exhibition

Results of efforts to fulfill the pledge of Superintendent Seo Geo-seokReflection of Characteristics and Demand

 

Reporter Seongho Park

 

The Jeonbuk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promoting a customized closed school utilization policy that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emands.

 

According to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on the 20th, the use of the existing closed schools was carried out with a passive policy focused on preservation or management, but after the inauguration of Superintendent Seo Geo-seok, it was changed to a customized policy that coexists with the region.

 

In particular, the basic direction is experiential facilities for student educational activities autonomous future art space for youth ecological playground for children establishment of its own educational institution.

 

In addition, it is a policy to cooperate with the local government where the closed school is located so that it can be used as a cultural and sports facility, a lifelong education facility, and an ecological environment facility.

 

In order to inform the staff in charge of local education support offices of the basic policy for using closed schools and to actively respond to policy changes, a 'T/F for utilizing closed schools that coexist with the region' was formed.

 

In addition, 'Abandoned school property utilization and management work manual' was also created through time to communicate with the staff in charge of local education support offices, such as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closed schools in other cities and provinces.

 

Chapter 1 = Definition of Abandoned School Property Chapter 2 = Direction of Utilization of Abandoned School Property Chapter 3 = Practical Use of Abandoned School Property Chapter 4 = General Management of Abandoned School Property Chapter 5 = Examples of Law Interpretation and Q&A made up

 

In addition, policy loans for closed school properties, sales tips, study management, and major civil complaint cases are included.

 

Seo Geo-seok, Jeonbuk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of Education said, “We have prepared a plan to utilize closed schools tailored to the region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transparenc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he said.

 

Meanwhile, there are a total of 40 closed schools in the province, 24 for self-use 9 for loans preservation and closed schools(islands = 4 in Gunsan and 3 in Buan).

ⓒ 브레이크뉴스 전북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도배방지 이미지


'제130주년 동학농민혁명 기념식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