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정읍시와 정읍문화원이 공동 개최한 '정읍속의 백제 중앙과 지방' 학술 심포지엄은 정읍시가 영원면 일대의 마한‧백제 고분군에 대한 국가 사적지 지정을 겨냥해 마련한 자리였다.
정읍시 영원면 일대의 고분군에 대한 전략적 학술대회는 1962년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이후 1973~1974년, 전영래 박사의 최초 조사보고서가 만들어진 후 처음이었다.
이 시기 전영래 박사의 은선리 고분군에 대한 최초 조사보고서는 이후로 한동안 잊혀 있었지만 1990년 초반 새롭게 시작된 지방자치 시대의 도래와 함께 지역 주민들과 일부 의식인들 사이에서 해당 문화유적의 중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오던 것이 이번 학술대회가 마련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관심 속에서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그동안 백제 사비시기의 중방성 토호 세력들의 무덤으로만 알려져 왔던 고분군들이 6세기 초엽의 마한시대 기층세력들의 무덤이었을 것이라는 새로운 학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것은 웅진 초엽의 2식과 중엽의 웅진 3식 이외에도, 중방성 시기의 사비식 고분 2식이 형식을 달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백제 사비시기의 중방 고사부리성에 대한 중요성은 지난 1910년 9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전국 향토자원조사'과정에서도 인근 옹동면 산성리와 무성리 산성 등이 고사부리 성으로 이어지는 주요 산성의 진입로와 퇴로였다는 사실과 함께 영원면 일대의 고분군 문화유적에 대한 중요성이 제기된바 있다.
그러나, 정읍시 영원면 고분군에 대한 정읍시의 미온적인 대응은 해당 문화유적에 대한 홍보효과에 급급한 나머지 해당 유물의 일부가 훼손된 상태로 국가 사적지 지정을 요구하는 오류를 범했고, 결국 놀라운 '마한, 백제 시대의 유물'이라는 사실이 확인되고서도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
학술대회 이후 "이제는 방법이 없는 것인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최완규 교수와 최성락 전문 위원은 이구동성으로 "방법은 있지만 유적의 원상복구가 먼저 선행되어야 하고 270여 고분군의 전체 보다는 시대별 구분에 따른 변별력을 발휘해 주요 분포지역을 사적지로 등록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정읍시의 결단이 있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민선 6기 3년차를 맞아 각 지역 단체장들의 행보도 다양하다.
모험을 시도하기보다 현행의 정치적 상황을 유지하는데 급급한 단체장들이 있는가 하면 해당 지역을 관선시대에 비해 역사‧문화‧경제적인 측면에서 차별화된 지역으로 탈바꿈 시켜 뚜렷한 지역 정체성으로 만들어 가는 단체장들이 있었다.
따라서, 이번 학술대회가 의미하듯, 이제 이후로 이어질 모든 선택은 정읍시 김생기 시장의 의지에 따라 정읍시의 고대사와 조선‧근현대사로 이어지는 지역 향토역사가 바로설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