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데스크칼럼】일자리 대책은 한 몸!
김현종 전북취재본부장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사입력: 2017/05/28 [14:48]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문재인 대통령이 집무실에 상황판을 설치해 직접 챙길 만큼, 일자리 대책에 정책 총력을 쏟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을 재확인 시키는 통계가 나왔다.

 

올해 1분기 출생아 수가 역대 최저라는 것이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3월 인구동향'을 보면 3월 출생아 수는 33,200명을 기록해 1년 전에 비해 13.1% 감소했다.

 

이에 따라, 올해 1분기 누적 출생아 수는 98,800명으로 지난해보다 12.3% 감소했다.

 

89,100명으로 12.7% 감소했던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연속으로 두자리수 감소율이고 두 분기 연속으로 10만명을 넘지 못했다.

 

이대로라면 연간 신생아 수가 30만명대로 떨어질 우려가 현실활 될 것으로 분석된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는 아이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은 19832.06으로 인구의 현상 유지선(2.1)이 무너졌고 2001년 초저출산의 기준인 1.3 아래로 떨어진 후 지금은 1.23명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학력이 낮을수록 혼인율과 출산율이 낮고 대신 이혼율은 높다.

 

2015년 기준 20세 이상 남성의 혼인율(1000 명당 혼인건수)15.1건인데 대졸 이상은 24.5건이나 되는데 고졸은 9.8건에 불과하다.

 

여성의 합계출산율도 대졸 이상은 1.32고졸 1.02명으로 차이가 난다.

 

이유는 간단하다.

 

일자리 찾기가 더 어렵고 불안정하며 임금 격차도 크기 때문이다.

 

결국, 취업과 임금차이가 사회적 안정성 부분에 격차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일자리 없고 제대로 임금을 받지 못하면 결혼해서 아이 낳고 오손도손 잘 살아 볼 엄두가 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본질적으로 일자리와 저출산 대책은 한 몸이다.

 

안정된 일자리가 많아지고 수입을 얻는 젊은이가 늘어나면 혼인과 출산도 부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육아휴직 확대와 함께 더불어 돌봄제를 대표적인 저출산 대책으로 공약했다.

 

육아휴직급여를 현재 통상임금의 40% 수준에서 출산 후 첫 3개월 동안 2배인 80%로 올리는 내용도 있다.

 

예산이 필요한데 추경에 포함시킬 방침이다.

 

지난 12년간 81조원이나 되는 돈을 쓰고도 별 효과가 없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지만 그래도 예산만큼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없다.

 

전 연령전 계층 보육지원이 시행돼 취학 전 아동의 어린이집과 유치원 비용을 국가가 지원하기 시작한 2010년부터 3년간 미미하지만 출산율이 반등했다.

 

하반기 추경에 일자리 예산과 저출산 예산이 똑같이 중요시되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브레이크뉴스 전북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도배방지 이미지


'희망 2025 나눔캠페인' 출범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