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안군의회 김정기 의원 '감사패' 받아
함평이씨 후손, 민충사… 위패 봉안 의정활동 높게 평가
김현종 기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사입력: 2022/03/27 [19:01]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전북 부안군의회 김정기 의원이 1579년 상서면 청등벌에서 왜적을 물리치다 목숨을 잃은 의병 다섯 분의 위패를 425년 만에 '민충사'에 봉안할 수 있도록 의정활동을 펼친 공적을 인정받아 함평 이씨(咸平 李氏) 후손들에게 감사패를 받았다.                                                                            / 사진 = 브레이크뉴스 전북취재본부 DB     © 김현종 기자



 

 

 

전북 부안군의회 김정기 의원이 1579년 상서면 청등벌에서 왜적을 물리치다 목숨을 잃은 의병 위패를 '민충사'에 봉안할 수 있도록 의정활동을 펼친 공적을 인정받아 함평 이씨(咸平 李氏) 후손들에게 감사패를 받았다.

 

김 의원이 감사패를 받게 된 공적은 지난 2020년 부안군의회 행정사무감사로 거슬러 올라단다.

 

당시 김 의원은 "부안의 호벌치 유적지 조성 사업 일환으로 2009519일 준공된 '민충사'에 조선 정유재란 의병 146위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나 의병장이었던 도곡 이유(함평이씨)부인 부안김씨봉사 유희방(고흥 류씨)해옹 김홍원(부안 김씨)채춘봉(평강 채씨)권대붕(안동 권씨) 등 여섯 분의 위패가 봉안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의 이 같은 의정활동으로 무려 425년의 역사적 시간이 흐른 20221, '의병장 도곡 이유, 부인 부안김씨는 여성이라 모실 수 없다'는 의견으로 제외돼 다섯 분의 위패가 '민충사'에 봉안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김 의원은 지난 24'민충사'에서 함평이씨 판관공파(判官公派) 낭곡문중 이행욱 도유사와 고흥 류씨 문중의 유춘득씨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감사패를 전달받아 각별한 의미를 담아냈다.

 

이행욱 도유사는 이 자리에서 "나라가 위급할 때 목숨을 바쳐 지킨 선조들을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된다""의병장 선조들의 위패를 '민충사'에 안치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준 김정기 의원을 비롯 관계자 모두에게 진심으로 감사하고 기쁨보다는 오랫동안 방치된 정유재란 역사에 가슴 아파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민충사가 부안군민의 문화재가 아닌 전라북도의 문화재로 관리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지역의 가치 있는 문화재 발굴 등 제대로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의정활동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민충사'는 선조 30년 부안지역 의병이 해로를 이용, 줄포에 상륙해 부안으로 진격하는 왜군과 싸우다 수적인 열사에 밀려 전사한 정유재란 호벌치 전적지(丁酉再亂 胡伐峙 戰蹟地 = 전라북도 기념물 제30)에 건립된 제각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eceived 'Appreciation Plaque' from Buan County Council Member Kim Jeong-gi

Descendants of the Hampyeong Lee clan, MinchungsaHigh praise for the ceremonial activity of enshrining the mortuary tablet

 

Reporter Kim Hyun-jong

 

Jeollabuk-do Buan County Councilor Kim Jeong-gi, in 1579, was awarded to the descendants of the Hampyeong Lee clan in recognition of his ceremonial activities so that the memorial tablets of the soldiers who lost their lives during the defeat of Japanese enemies at Cheongdeungbeol in Sangseo-myeon can be enshrined in 'Minchungsa'. received a plaque of appreciation.

 

The achievement of Rep. Kim receiving the plaque of appreciation dates back to the administrative affairs audit of the Buan County Council in 2020.

 

At that time, Rep. Kim said, "The mortuary tablets of the 146th medical soldier Jeong Yu-jae-ran are enshrined in 'Minchungsa', which was completed on May 19, 2009 as part of the project to create the Hobeolchi site in Buan. The mortuary tablets of six people, including Volunteer Yu Hui-bang (Goheung Ryu clan), Haeong Kim Hong-won (Buan Kim clan), Chae Chun-bong (Pyeonggang Chae clan), and Kwon Dae-bung (Andong Kwon clan), are not enshrined."

 

In January 2022, after a whopping 425 years of historical time has passed due to the legislative activity of Rep. Kim, it was excluded with the opinion that 'You can't serve Buan Kim because it is a woman', and 'Minchungsa' It led to the result of being encapsulated in

 

Rep. Kim received a plaque of appreciation at the 'Minchungsa Temple' on the 24th, in the presence of Lee Hae-wook Doyusa, a member of the Hampyeong-i clan's Pangwangongpa (判官公派) family, and Yoo Chun-deuk, a member of the Goheung Ryu clan.

 

At this meeting, Doyusa Lee Hae-wook said, "We must never forget our ancestors who sacrificed their lives to protect our country in times of crisis." I am sincerely grateful to everyone, and rather than joy, I was heartbroken by the long neglected history of Jung Yoo-jae."

 

Rep. Kim said, "I will continue to work hard so that Minchungsa Temple can be managed as a cultural property of Jeollabuk-do rather than as a cultural property of the people of Buan. did.

 

Meanwhile, 'Minchungsa' is the battle site of Jeong Yujaeran Hobeolchi, where medical soldiers from the Buan area used the sea route in the 30th year of King Seonjo to fight the Japanese army advancing to Buan using the sea route and were killed by a number of martyrs. Jegak built in Jeollabuk-do Monument No. 30).

ⓒ 브레이크뉴스 전북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도배방지 이미지


'용담호' 붕어잡이 어부와 아내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