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야금 연주자 정꽃님씨(왼쪽)가 수제천 연주단 악장인 주정민씨(오른쪽)의 해금 가락과 두엣 합주 연습을 하고 있다. / 사진 = 이용찬 기자 © 김현종 기자 |
|
거문고ㆍ가야금 연주자자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ㆍ가야금산조 예능보유자 녹야(鹿野) 김윤덕(金允德 = 1918~1978) 명인의 생전 가야금산조를 복원하는 정꽃님씨의 독주회가 오는 16일 오후 4시 전북 정읍 '연지아트홀' 무대에 올려진다.
정꽃님 연주자가 진행하는 첫 번째 가야금 프로젝트는 지역 국악인으로 앞서 눈부신 행보를 보였던 지역 국악 명인들의 음원을 복원하고 그 가치를 음미해 볼 수 있는 무대라는 점에서 애호가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전하는 한국의 전통음악은 오랜 역사 속에 수많은 전쟁과 격동의 세월을 거치며 상실과 단절의 위기에 놓이기도 했지만 후대 연구자들의 원음 복원을 통해 그 역사가 이어져 온 바 있다.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역시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는 세월 동안 그 원음이 사라져 이전까지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복원을 위한 연주회는 많았지만 그 실체를 올곧게 느낄 수 있는 원음 연주회는 없었다.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원음 복원에 나선 정꽃님 연주자는 "국립전통예술고ㆍ전북대 한국음악과를 졸업한 뒤 중앙대학교 대학원을 수료하는 과정에 2005년 무렵 김윤덕류 가야금산조를 학교에서 이미 접했던 적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정읍 수제천연주단'의 단원이자 '정읍시립국악단' 상임단원으로 재직하고 있는 기성 국악인 정꽃님 연주자는 지난 14일 본지와 인터뷰에서 "대학원 당시, 김윤덕류 가야금산조를 접하고 연주한 바 있지만 지난해부터 정읍에 거주하며 우리 지역의 국악 명인들의 발자취를 기리고 그분들의 음악적 가치를 복원하는 전통음악 가야금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과정에 접한 김윤덕류 가야금산조는 이제까지 접했던 5개 가야금산조의 어떤 음원보다 복원이 힘들었던 음악이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우연한 기회에 김윤덕 명인의 발자취를 더듬어 보는 과정에 우연하게 20여분 가량 김윤덕 생전의 1969년 원음ㆍ음원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정꽃님 연주자의 설명을 직설적으로 해석하면 일부 학계에 알려진 것처럼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의 원형은 대가 끊겼다'는 설(說)과 달리 CD는 남지 않았지만 김 명인의 고향인 정읍지역에 일부 녹음 테이프 등의 원음 음원이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는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궁중음악 정악과 달라 '허튼가락'으로도 불리는 '산조'는 한국음악의 역사에서 ▲신성(新聲)의 시대 ▲ 신조(新調)ㆍ신곡(新曲)의 시대로 불리던 18세기 음악의 산물이다.
우리나라 음악에 있어 18세기는 새로운 레퍼토리의 곡이 연주됐다는 점에서나 줄풍류ㆍ대풍류ㆍ세악 등으로 불리는 삼현육각 등의 새로운 실내악 편성이 크게 유행하던 시기였다.
무엇보다, 이 시기부터 서양 악기인 '양금'이 유입돼 우리나라 실내악에 사용됨으로써, 이전까지 우리의 명주실 소리와는 다른 쇠줄 소리의 맑고 투명한 음색이 실내악과 어우러져 이전과는 다른 울림이 생겨난 것도 이때부터다.
우리나라 음악이 현재의 국악으로 정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줄풍류 음악은 고대부터 궁중과 군영에서 이용하던 군영악대의 음악과 중국의 악기를 수용해 우리의 전통 악기로 전승된 두 방면의 악기가 혼합돼 현전하게 된 금(金)ㆍ고(鼓)ㆍ가(笳)ㆍ적(笛) 등을 이용하던 연주 전통이 조선 후기에 부활해 현재에 이르게 된 음악을 말한다.
궁중음악 영산회상에서 파생한 줄풍류는 현악기 중심의 첫 번째 영산회상 '중광지곡(重光之曲)'은 가야금ㆍ해금ㆍ거문고 등의 현악기와 세피리ㆍ대금ㆍ단소 등의 관악기가 곁들여진다.
두 번째 관악기 중심의 영산회상인 '표정만방지곡(表正萬方之曲)'과 세 번째 현악영산회상을 4도 아래로 이조(移調)해 연주하는 합주곡 유초신지곡(柳初新之曲) 등도 비슷한 악기편성으로 연주가 이뤄진다.
이런 점에서 '산조'는 이전까지의 궁중음악 영산회상이 '거문고회상'으로 불리던 17세기 후기부터 이미 기악화돼 연주되기 시작하던 것이 18세기 전기부터 풍류객들의 관심 속에 대갓집이나 지역 유지들의 사랑방을 중심으로 작은 음악회가 열리기 시작하며 연주되던 '가락'을 말하는데, 이것이 연주되던 장소가 풍류방이었다.
정읍에는 '정읍 진산동 영모재'와 '아양정ㆍ이심정ㆍ정읍정악원' 등의 풍류방이 있었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eong Kkot-nim Gayageum Recital 'Sign'
Kim Yun-deok-ryu Gayageum sanjo original sound restoration… The first stage of the gayageum project
Reporter Lee Yong-chan
Geomungo, Gayageum player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23, Gayageum sanjo performing arts holder Nokya Kim Yun-deok(1918-1978) A recital by Jeong Kkom-nim, who restores the gayageum sanjo during the life of master, will be held at 4 pm on the 16th at 4 pm in Jeongeup, North Jeolla Province. It will be put on the stage of 'Yeonji Art Hall'.
The first gayageum project by Jeong Kkot-nim is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from fans as it is a stage where they can restore and appreciate the value of local traditional music masters who have made dazzling progress as local traditional musicians.
The current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on the verge of loss and severance through numerous wars and turbulence in its long history, but the history has continued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ound by later researchers.
The original sound of the Kim Yun-deok-ryu gayageum sanjo also disappea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and there have been many concerts to restore the Kim Yun-deok-ryu gayageum sanjo, but there has been no original sound concert where you can truly feel its reality.
Performer Jeong Kkomnim, who started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ound of 'Kim Yun-deok-ryu Gayageum Sanjo', said, "After graduating from the Nationa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and Chonbuk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Korean Music, I had already encountered the Kim Yun-deok-ryu Gayageum Sanjo at school around 2005." has stated that
Performer Jeong Kkom-nim, an established traditional musician who is a member of 'Jeongeup Handmade Natural Ensemble' and a permanent member of 'Jeongeup Municipal Traditional Orchestra', said in an interview with this magazine on the 14th, "During graduate school, I encountered and played Kim Yundeok-ryu gayageum sanjo, but since last year in Jeongeup. Kim Yun-deok-ryu, who lived and heard the process of preparing a traditional music gayageum project that honors the footsteps of the local traditional music masters and restores their musical values, was a song that was more difficult to restore than any other sound source of the five gayageum sanjos he had encountered.” explained.
In particular, he emphasized, "Last year, by chance, in the process of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master Kim Yun-deok, I was able to accidentally discover the original sound source from 1969 during Kim Yun-duk's life for about 20 minutes."
If we interpret Jeong Kkotnim’s explanation directly, as is known in some academic circles, unlike the theory that ‘the original form of the Kim Yun-deok-ryu Gayageum sanjo was cut off’, there were no CDs left, but some recording tapes were recorded in Jeongeup, the hometown of Kim Myeong-in. It is interpreted that the original sound source still remains in various places.
Unlike court music, 'Sanjo', also called 'hutong-rak', is a product of 18th-century music, which in the history of Korean music was called the era of new music and the era of new songs and new songs.
In Korean music, the 18th century was a time when new chamber music arrangements such as samhyeon yakgak, also called Julpungryu, Daepungryu, and Seak, were very popular in that new repertoire songs were played.
Above all, it is from this time that the Western musical instrument 'yanggeum' was introduced and used in Korean chamber music, and the clear and transparent tone of the iron string sound,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sound of our silk thread before, was harmonized with chamber music to create a different resonance than before. All.
The Julpungryu music, which aros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orean music as the current Korean traditional music, is a mixture of the music of the military band, which has been used by the royal court and military since ancient times, and the musical instruments of China, which have been handed down as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It refers to the music that has been reviv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as reached the present, in which the traditional performance of using gold(金), Go(鼓), Ga(笳), and Jeok(笛) was reviv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Junggwangjigok', the first Yeongsanhoesang centered on string instruments, is a string instrument derived from the royal court music Yeongsanhoesang.
The second wind instrument-centered Yeongsanhoesang, 'Feeling Manbanggok(表正萬方之曲)', and the third ensemble piece Yuchoshinjigok(柳初新之曲) with stringed Yeongsanhoesang shifted down by 4 degrees. It is also performed with similar instrumentation.
In this regard, 'Sanjo' started to be instrumentalized and played from the late 17th century, when the previous royal music Yeongsanhoesang was called 'Geomungohoesang'. It refers to the 'rak' that was played when the concert started, and the place where it was played was Pungryubang.
In Jeongeup, there were pungryubangs such as 'Youngmojae, Jinsan-dong, Jeongeup,' and 'Ayangjeong, Isimjeong, and Jeongeup Jeonga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