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유난히 세월호 참사 등 많은 대형재난, 사고가 발생했던 해로 기억된다.
이러한 참사들은 과연 누구의 책임인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고 싶다.
국가적 책임을 물으며, 정부로만 문제를 돌리기는 우리 모두의 국민성에 그 근본적인 원인이 있지 않나 생각한다.
과거 20년 전의 삼풍백화점을 시작으로 성수대교 등의 재난들이 우리 모두가 안전의식이 결여된 상태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했기에 발생한 사회적 재난인 인재이기 때문이다.
새 정부는 최근 정부조직법 통과로 재난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지난달 19일 국민안전처를 출범시켰다.
국민안전처의 앞으로 행보가 강력한 제재와 단속 등, 재난기관의 역할에만 치우치게 된다면, 엄정한 법적 줄자를 갖다 대는 공무원들만 국민들의 원성을 사게 되는 “미봉책”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국민안전처가 고민하고 수립해야할 정책의 기본 틀은 어떡하면 국민이 자기위치에서 안전에 대한 책임감과 안전의식을 가지고 자기 역할을 수행하는가에 초점이 맞춰져야함은 자명한 일이다.
아무리 좋은 대책이라도 국민들의 함께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해마다 겨울철이면 1년 중 화기취급이 가장 많은 시기이다 보니 소방서에서는 겨울철 소방안전대책을 추진한다.
화재예방분위기 조성, 소방안전관리 적폐차단 불시단속, 비상구 캠페인 등 불철주야 소방공무원들의 노력이 담겨지지만, 도민들의 참여와 의식제고는 아직도 미미한 수준이다.
단적인 예로 작년 소방관서에서 다중이용업소를 대상으로 화재배상책임보험 가입의무화를 안내했을 때, 적잖은 반발을 관할 담당 행정동 소방공무원이 혼자 감내해야했던 사례가 있다.
다중이용업소 업주의 자력 배상력을 높이고, 화재 시, 다가오는 선이의 피해를 방지하고자 마련된 취지는 업주들의 안전의식이 제고 되지 않는 이상, 처벌을 피하기 위한 수긍으로 퇴색되고 말 것이다.
우리 모두의 안전의식 제고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하임리히의 "1대 29대 300" 의 이론을 통해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하임리히 이론은 한번의 대형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이미 그 전에 유사한 29번의 경미한 사고가 있었고, 300번 이상의 이상 징후가 감지됐을 것이라는 이론이다.
재난은 아무런 예고 없이 찾아오는 게 아니다.
알게 모르게 나름의 전조현상들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역으로 이용해 사고를 예방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화재를 진압하고 조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된 비상구 폐쇄, 소방차 진입 곤란, 소방시설 유지관리 소홀 등 조금만 주의를 가졌더라면 화재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사례를 접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발생의 조건들을 제거해 우리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안전의식 제고가 요구된다.
대형 사고를 맞이한 뒤 각종 선거에서의 공약은 안전과 관련한 제도 도입, 시스템 구축, 법적 제제강화를 위한 예산 투입에만 한정된다.
그러나 인력과 예산부족이 사고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이 아니며, 이러한 조치가 본질적인 해결책이 되어주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국가안전처의 새로운 시작은 국민의 소방안전의식을 강화하는 홍보와 정책만이 우리 모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확실하고 유일한 길임을 인지한 정책이 펼쳐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국민들 역시 안일한 생각을 지양하고 "사고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 는 의식을 가지고, 안전과 관련된 몇 가지 수칙들을 지킴으로써, 대형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초석을 만들어가자고 당부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