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부안군이 주최하고 전북대학교 이재연구소가 주관한 '2022 이재연구소 학술대회'가 '홍재일기(鴻齋日記 = 1866~1911)로 본 부안의 사회상’이라는 주제로 부안교육문화회관에서 성황리에 열리고 있다. © 이용찬 기자 |
|
전북 부안군이 주최하고 전북대학교 이재연구소가 주관한 '2022 이재연구소 학술대회'가 '홍재일기(鴻齋日記 = 1866~1911)로 본 부안의 사회상’이라는 주제로 부안교육문화회관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학술대회는 ▲ 부안유생 기행현의 홍재일기와 동학농민혁명(이선아 = 전북대학교 이재연구소) ▲ 19세기 말 부안군 훈집(訓執)의 성격과 역할(김영준 = 오래된미래연구소) ▲ 1894년 이후 부안의 사회적 동향과 경제적 실상(김철배 = 임실군청) ▲ 홍재일기를 통해 본 지방 사족의 일상생활(임혜영 = 군산대학교) ▲ 홍재일기에 나타난 기행현의 학습과정과 중국 시문의 수용(송행근 = 전북미래연구원) ▲ 홍재일기에 나타난 조선 말 풍속-농점(農占)(배경옥 = 완산역사문화연구소) 등 총 6편의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으로 진행됐다.
특히 최근 중요한 학술적 발견으로 조명되고 있는 약 14,000여 일의 장대한 '홍재일기(鴻齋日記)' 기록에 대한 사료적 가치를 밝히는 학술대회로 동학과 그 당시 사회의 사회상ㆍ일상생활ㆍ언어 등 다양한 방면에서 학술적으로 접근한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져 분위기가 후끈 달아올랐다.
또한 '홍재일기'가 기행현이 1866년부터 1911년까지 약 45년간 자신의 일상 및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생활 일기라는 점에서 동학과 의병ㆍ훈집ㆍ곡가변동 등 각각 분야별 연구를 통해 하나의 완성된 자료집 또는 논문ㆍ시집ㆍ스토리텔링 자료 등으로 확대하는 방안 등이 논의됐다.
이 자리에서 전북대 한문종 이재연구소장이 기조 강연을 통해 '홍재일기'가 세상에 알려지게 된 배경을 설명한 뒤 "그동안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가 오지영의 '동학사ㆍ김낙철 역사ㆍ김낙봉 이력' 등과 같이 동학 관계자의 기록이었던 반면, '홍재일기'는 1894년 1월부터 12월 동학군의 패전까지 동학에 참여하지 않은 유생 기행현의 기록이었다는 점에서 여러 사료적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자료"라는 사실을 밝혔다.
또, 전북대학교 박정민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1부 발표에서 전북대 이재연구소 이선아 교수는 '부안 유생 기행연의 홍재일기'와 '동학농민혁명에서 홍재일기'는 동학 당시 부안군 남하면(현재의 주산면) 홍해마을에서 거주하던 기행현의 일기로 '홍재일기'에는 기행현이 약 45년 동안 쓴 일상과 견문ㆍ중앙의 민정ㆍ각종 부세 행정 등 개인적 일상과 삼정의 대상으로서의 민인의 실상 등을 소개했다.
이어 '홍재일기'에 소개된 부안 백산의 '동학군'과 '수성군'에 관한 동향을 비롯 이 당시 기행현이 홍해마을 뒷산 도소봉(道所峯)에 올라 동북쪽 백산에 모인 '동학군'의 탐색 과정과 3월 29일, 제주의 동학군이 부안에 들어왔던 소식ㆍ동학군이 왜병을 앞세운 정부군과의 접전에서 패한 후 동학군에 대한 체포와 탄압이 이어지던 과정, 이후 의병으로 이어지던 사회상 등의 내용을 들춰내 관심을 모았다.
또 ’19세기 후반 부안군 훈집(訓執)의 성격과 역할’이라는 주제를 발표한 미래연구소 김영준 연구원은 홍재일기에 수록된 내용들 가운데 현재의 동장과 같은 ’훈집(訓執, 집강)’이 당시 17개 면(面)에 1명씩 배치돼 활동했던 상황 등을 소개했다.
김철배 임실군청 학예연구사는 '홍재일기'에 나타난 1894년 이전 부안군의 경제 사정과 동학 이후의 경제 사정ㆍ매월 단위로 변하던 곡가변동 상황ㆍ이 시기에 일어난 부안의 의병활동ㆍ화폐정리사업 등이 백성들에게는 어떠한 형태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는지에 관련 부분을 발표했다.
군산대 임혜영 연구원은 구한말 '홍재일기'에 나타난 부안지역 유생들의 수학(修學)과 과거 응시, 교우관계, 혼인 등의 내용에 관한 부분이 발췌해 발표했고 전북미래연구원 송행근 연구원은 '홍재일기'에 수록된 기행현의 백일장과 순제(旬題), 과거급제를 위한 학습과정을 통해 조조선 말기 지방 유생들의 일반적인 학습형태를 분석한 내용 등을 발표했다.
완산역사문화연구소 배경옥 연구원은 ▲ 조선조 말기 지방의 날씨 기록방식 ▲ 농점ㆍ날씨로 보는 풍속 ▲ 24절기의 농점 풍속 ▲ 명절의 농점 풍속 ▲ 간지(干支)로 보는 농점 풍속 등을 각각 발표했다.
한편 '홍재일기'는 전라도 부안현 남하면(南下面) 백석리(白石里) 홍해마을(현재 부안군 주산면 백석리 홍해마을)에 살았던 유생 기행현(奇幸鉉, 1843~?)이 1866년부터 1911년까지 약 45년 간 자신의 일상 및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생활일기이자 비망기다.
부안군은 전북대학교 이재연구소와 기행현의 '홍재일기'를 국역 발간할 예정이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academic conference 'Society of Buan seen through the diary of Hongjae'
Hosted by Buan-gun, hosted b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Lee Jae Research Institute… three-dimensional view
Reporter Lee Yong-chan
The '2022 Lee Jae Research Institute Academic Conference' hosted by Buan-gun, Jeollabuk-do and supervised by the Lee Jae Research Institute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was held with great success at the Buan Education and Culture Center under the theme of 'Buan's social aspects seen through Hongjae's diary(鴻齋日記 = 1866-1911)'.
This academic conference will be held ▲ Hongjae diary of Ki Haeng-hyeon, a Confucian student in Buan an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Lee Seon-ah = Chonbuk National University Lee Jae Research Institute) ▲ Characteristics and role of Buan-gun military collection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Kim Yeong-jun = Old Future Institute) ▲ Buan after 1894(Kim Cheol-bae = Imsil-gun Office) ▲ Daily life of a local nobleman as seen through Hongjae's diary(Lim Hye-yeong = Gunsan University) ▲ Ki Haeng-hyeon's learning process and acceptance of Chinese poetry and prose in Hongjae's diary(Song Haeng-geun = Jeonbuk Mirae) Researcher) ▲ A total of 6 thematic presentations and comprehensive discussions were held, including custom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Hongjae's Diary - Nongjeom(Bae Bae-ok = Wansan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In particular, it is an academic conference to reveal the historical value of the magnificent 'Hongjae Diary(鴻齋日記)' record of about 14,000 days, which has recently been highlighted as an important academic discover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on topics approached academically from various fields continued, heating up the atmosphere.
In addition, in that 'Hongjae Diary' is a life diary in which Ki Haeng-hyeon recorded his daily life and what he saw and heard for about 45 years from 1866 to 1911, it is a complete data collection or Plans to expand the scope to papers, poetry collections, and storytelling materials were discussed.
At this meeting, the head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s Han Mun-jong Lee Jae Research Institute gave a keynote speech explaining the background of how 'Hongjae's Diary' became known to the world, and said, "Most of the studies o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ave While it was a record of Donghak officials, 'Hongjae Diary' was a record of Ki Haeng-hyeon, a Confucian student who did not participate in Donghak from January 1894 to the defeat of Donghak Army in December. revealed
In addition, in the first part of the presentation, which was moderated by Professor Park Jeong-min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Lee Seon-ah of th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Lee Jae Research Institute said, 'Hongjae's Diary of a Confucian Student Journey in Buan' and 'Hongjae's Diary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ere held in Honghae Village, Namha-myeon(currently Jusan-myeon), Buan-gun at the time of Donghak. In 'Hongjae Diary', the diary of Gi Haeng-hyeon, he introduced the daily life and experiences he wrote for about 45 years, the central government's civil administration, and various tax administrations, as well as his personal daily life and the reality of the people as the subject of three governments.
Then, the trend of 'Donghak-gun' and 'Suseong-gun' in Baeksan, Buan introduced in 'Hongjae Ilgi', and the search process of 'Donghak-gun' gathered in Baeksan in the northeast, On March 29, the news of the Donghak army in Jeju entering Buan, the process of arrest and suppression of the Donghak army after the defeat in a close battle with the government forces led by the Japanese army, and the social situation that led to the righteous army afterward were revealed and attracted attention. .
Researcher Kim Yeong-joon of the Future Research Institute, who presented the topic of 'the nature and role of the Buan-gun collection(訓執) in the late 19th century,' said that among the contents of Hongjae's diary, 'hun collection(訓執, Jipgang)', the same as the current Dongjang, was 17 at the time. It introduced the situation in which one person was assigned to each side and was active.
Kim Cheol-bae, a curator at Imsil-gun Office, said that the economic situation of Buan-gun before 1894, the economic situation after Donghak, the situation of monthly price fluctuations, th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of Buan, and the currency consolidation business that occurred during this period, which appeared in the 'Hongjae Diary', are the people. The relevant part was announced in what form it was accepted by people.
Researcher Lim Hye-yeong of Kunsan National University published excerpts from the 'Hongjae Dia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 the contents of Confucian scholars' mathematics, past exams, friendships, and marriage, etc. He presented the analysis of the general learning patterns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study process for the written examination, sunje(旬題), and the exam for the national examination.
Bae Bae, Bae, a researcher at the Wansan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presented ▲ weather recording methods in the regio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 customs of farming and weather ▲ farming customs of the 24 solar terms ▲ farming customs of holidays ▲ farming customs viewed by zodiac signs.
On the other hand, 'Hongjae Diary' is a Confucian scholar Gi Haeng-hyeon(奇幸鉉, 1843~?) who lived in Honghae Village, Baekseok-ri, Baekseok-ri, Namha-myeon, Buan-hyun, Jeolla-do(now Honghae Village, Baekseok-ri, Jusan-myeon, Buan-gun) from 1866 to 1911. It is a life diary and memoir in which he recorded his daily life, what he saw and heard for about 45 years.
Buan-gun plans to publish 'Hongjae Diary' written by Ki Haeng-hyeon and Lee Jae Research Institute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